Thursday, October 30, 2008

위대한 유산



16. "위대한 유산"

16. “Great Legacy”
-2001년 7월
-July 2001
.
.
.
신명기 26장 5-11절
Deuteronomy 26:5-11
5 너는 또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아뢰기를 내 조상은 유리하는 아람 사람으로서 소수의 사람을 거느리고 애굽에 내려가서 거기 우거하여 필경은 거기서 크고 강하고 번성한 민족이 되었더니 6 애굽 사람이 우리를 학대하며 우리를 괴롭게 하며 우리에게 중역을 시키므로 7 우리가 우리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께 부르짖었더니 여호와께서 우리 음성을 들으시고 우리의 고통과 신고와 압제를 하감하시고 8 여호와께서 강한 손과 편 팔과 큰 위엄과 이적과 기사로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시고 9 이곳으로 인도하사 이 땅 곧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주셨나이다 10 여호와여 이제 내가 주께서 내게 주신 토지소산의 맏물을 가져왔나이다 하고 너는 그것을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두고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경배할 것이며 11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와 네 집에 주신 모든 복을 인하여 너는 레위인과 너의 중에 우거하는 객과 함께 즐거워할찌니라

.


.

지금으로부터 30년도 훨씬 지난 1970년대 중반의 TV프로 중에 황인용 아나운서가 진행하던 ‘장수 만세’라는 프로가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방송국에 신청을 하면, 프로그램담당자들은 예심을 거쳐서 본선에 진출할 3명의 노인 분들을 뽑았습니다. 본선에 진출한 노인 분들은 본인이 부를 노래, 혹은 기타의 장기자랑을 하고 본인의 순서가 끝나면 자손들 모두가 출연해서 노인분과 함께 노래를 하던 프로였습니다. ‘장수 만세’의 특성상 70-80살이 넘는 노인 분들이 출연하다 보니 자손들 중에는 나이가 지긋이 들어서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자리를 잡은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
어떤 노인분이 예심을 볼 때는 심사위원들에게 “고향은 함경도 산골인데, 먹고 살기위해 서울로 내려와 물장수를 하면서 아들 3형제 모두를 명문대학까지 보냈다”고 자신을 흐뭇해하며 자기소개를 했습니다.
.
그런데 본선에서는 이 노인분의 말이 180도 바꿨습니다.
.
예선이 끝나고 본선까지는 몇 일간의 여유가 있었습니다. 본선에 함께 출연할 다른 노인 분들은 본인이 부를 노래를 연습하거나 자손들과 함께 부를 합창곡을 연습하는데, 이 노인분만은 노래보다는 자기소개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연습했습니다.
그리고서 본선 날에는 “먹고 살 만 한 양반의 자식으로 태어나 평생을 책만 읽은 선비의 삶을 살았다”고 자기소개를 했습니다.
.
노인분의 아들 3형제는 예선에서 노인분의 말대로 명문대학출신으로 사회 각 분야에서 어느 정도 이름을 내밀 정도로 성공한 사람들이었습니다.
.
그런데 이 아들들이 생각하기에 “자기들의 아버지가 가난한 집의 자식으로 태어나 고향을 등지고 혈혈단신 남쪽으로 내려와 자식들과 먹고 살기 위해 물장수 했다”는 것이 TV를 통해서 세상에 알려지면 자기들 체면이 떨어진다는 것이었습니다. 3형제 모두가 자신들의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노인 분한테 세뇌와(?) 압력(?)을 가해 아버지의 과거를 180∘바꿔 놓았던 것입니다.
.
조선시대를 거쳐 일본의 36년 식민지통치당시 서울의 잘사는 명문양반집이나, 돈 많은 중인들의 집안에서는 물을 사서 쓰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
물을 사서 쓰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으나, 그 당시는 우물 파는 것이 너무 비싸고 힘든 것도 있었지만, '내놓으라 하는 집안 일수록' 집안에 우물이 있어도 하루 몇 짐의 물을 규칙적으로 사서 먹음으로써 ‘그 집안의 재력’을 남한테 보일 수 있는 기회로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연유로 서울 장안에서 물장수는 흔히 볼 수 있던 직업이었습니다.
.
.
북청 물장수
김 동환
.
.
새벽마다 고요히 꿈길을 밟고 와서
머리맡에 찬물을 솨아(쏴아) 퍼붓고는
그만 가슴을 디디면서 멀리 사라지는 북청 물장수
.
물에 젖은 꿈이
북청 물장수를 부르면
그는 삐걱삐걱 소리를 치며
온 자취도 없이 다시 사라져 버린다.
.
날마다 아침마다 기다려지는
북청 물장수
.
.
먹고살기 위해 맨 몸으로 고생하는 직업일수록 자랑할 것이 못 된다는 생각이 지금까지도 면면히 이어져 오는 게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 중의 하나입니다. 물장수라는 직업도 당시에는 그런 직업 중에 한가지로 여겼습니다.
개화의 물결이 함경도 두메산골까지 영향을 주어 자신은 가난한 집에 태어나 못 배운 탓에 고생하며 멸시를 받지만, 자녀들의 교육을 위해 물지게를 져야했던 물장수들은 연중무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아무리 추운 겨울의 이른 새벽이라도 물지게 지기를 꺼려하지 않았던 것이 물장수들의 삶이었습니다(북청은 함경남도에 있는 지명임).
.
머나먼 타향 서울까지 내려와서 배운 것 없고, 가진 것 없던 형편에 “물장수를 해서라도 아들들만은 대학까지 보내겠다”는 희망과 기대로 물지게를 졌던 이 노인분은 자신의 근면성과 노력으로 최하층의 고달픈 물장수의 고생을 이겨냈습니다.
.
그 대가로 아들 3형제 모두를 대학까지 보냈습니다. 이제는 자식들이 장성해서 잘 된 것을 볼 때마다 흐뭇해하던 노인분의 영광은 아들들의 압력 앞에서 사라졌습니다. 양반의 자손으로 태어나 입을 것, 먹을 것,...모든 것이 부족함이 없는 가운데서 선비의 고고한 삶을 사는 아버님과 그러한 부모 밑에서 책 읽는 것을 자연스럽게 보고 자란 아들들 역시 “자기들이 공부한 만큼 명문대에 입학했고, 사회에 나와서는 노력한 만큼 출세했다”는 것으로 말을 바꿈으로써 노인분의 자기희생적인 고달픈 일생을 지극히 안온한 일생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
이 노인분의 뒤바뀐 말속에서는 자식에 대한 헌신, 희생, 근면, 노력, 보살핌, 영광이란 말이 자리 잡기 힘듭니다.
그 대신에 출신, 지위, 체면 등이 다가옵니다.
.
누구를 위한 체면, 누구를 위한 지위, 보살핌의 자리 바뀜입니까?
.
만약에 아들들이 자신의 체면보다도 노인분의 자식에 대한 헌신과 희생을 사실그대로 세상에 알렸더라면, 노인분의 영광스러운 자기희생은 자손대대로 이어질 유산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들들의 체면 앞에서 노인분의 숭고한 희생정신은 끝이 나고 말았습니다.
.
이 노인분의 아들들처럼 우리는 과거의 역사를 미화시킴으로써 자신의 체면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요즈음, 신문이나 TV에서 한•일간의 감정 악화를 자주 다룹니다. 일본인들 스스로가 ‘자기들은 다른 민족이나, 나라들에 비해서 월등하게 뛰어나다’는 국민의식 속에서 한국과 중국을 얕잡아 볼 때가 많습니다.
.
이런 우월감과 교만함을 가지고 정서적으로 가장 민감한 청소년들이 배울 교과서에 역사적인 사실까지도 서슴없이 수정하거나 왜곡시켜서까지 국민적 우월감을 고취시키려 합니다. 일본의 고대문화는 한국과 중국에 비해 독창적이고 우수해서 일본 열도에서 한반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합니다.
.
여러분 세계지도를 보십시오!
.
초등학교 학생이 보더라도 중국, 한국, 일본의 지리적 특성상 세계4대 문명의 하나인 중국의 선진 문명이 한반도를 통해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었습니다. 태평양 연안에 속한 일본열도에서 ‘자기들의 발달한 문화가 대륙으로 거꾸로 거슬러 올라갔다’는 일본의 주장은 터무니없다기보다는 자신의 문화적 열등감을 감추기 위한 아집에 가깝습니다. 자기들보다 뒤쳐졌다고 생각하는 이웃나라에서 문화를 전수 받았다는 사실은 일본인들이 인정하기 힘든 국민감정입니다.
.
이런 일본을 향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분개하고 욕을 합니다.
.
그러나 냉정히 생각해 보면 한반도의 문화도 이와 같은 경로를 따라 발달해 왔습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기술할 때 '단일민족' 또는 '농경문화의 터 위에 이루어진 단일민족' 라는 수식어가 붙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신의 과거를 미화시킨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
황하문명은 기원전 오래 전부터 꽃을 피웠습니다. 한반도는 지리상 황하문명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황하유역에서 고대문명을 꽃 피우고, 부족이 성장해서 국가로 형성되고, 후에 강력한 중앙 통치 체제로 바뀌자, 기득권을 획득하지 못한 사람들이나 ―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몰라도 ― 도망친 무리들이 뭉쳐서 위로는 고조선이나 후에는 고구려, 남으로는 지금의 백제(마한지방)로 영입해 와서 한반도에 자리 잡고 살던 사람들과 자리다툼을 하거나 평화로이 흡수해서 오늘날 대한민국의 선조들이 되었습니다.
.
우리민족의 정체성으로 당연히 받아들이던 “단군의 후예, 5천년의 역사, 농경문화 속에 정착한 단일민족”과는 거리가 먼 부문들이 첨가 되어야만 하는 것입니다.
.
“발달한 중국 문화의 변두리에 속한 덕에 중국의 정치적 도망자나 피해자 등이 뭉쳐서 한반도에 몰려와 자리를 잡고 영향을 주었다.”- 이 사실을 대한민국의 국민들은 후손들에게 자랑스럽게 말해 줄 수 있습니까?
.
더구나 한반도 선조들의 계보를 찾다 보면 몽골고원이나 알타이 산맥부근의 흉노족과도 연결시키게 됩니다. 이들의 특징은 유목민적인 생활관습에 있습니다. 유목민은 문명을 받아들이는데 굉장히 뒤쳐집니다.(창 46:3, 4참고) 여러분이 TV에서 중앙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유목민들을 소개하는 장면들을 보면 아직도 말, 소, 양등의 가축에 의존하는 기동력이나 빠르게 변해가는 세상 속에서 1000년 전과 비교해도 조금도 바뀐 것이 없는 천막에서의 생활방식 등이 때로는 신기롭게 보일 때도 있지만, 문명세계와는 너무 뒤쳐진 유목민의 생활 습관이 답답하게 느껴질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
인종과 문화의 맥을 찾다 보면 지금의 카자흐스탄 지방의 카작인들이(투르크족) 몽고와 연결됐고, 몽고인들은 한반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고, 한반도에서 다시금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계보가 형성 됩니다.
.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금 분노하는 것은 일본인들의 오만한 행동인데 입장 바꿔 생각하면 한국인들도 일본인들과 같은 생각과 행동을 한다는 것입니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문화가 황하 유역에서 찬란한 고대 문화를 꽃피웠던 '한족'이라면 몰라도 아직도 말 타고, 천막생활을 하면서 목욕을 고사하고 세수 할 물마저 없는 초원의 유목민들인 카작인이나 몽골인의 후예인 것을 인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
이런 예는 같은 미국인들인데도 백인이라면 나쁜 선입감보다는 오히려 호감 을 갖는 쪽으로 생각하고, 흑인이면 무조건 열등하거나 나쁜 쪽으로 생각하는 것이나, 이왕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면 초원의 유목민들의 뒤처진 문화보다는 세계가 인정하는 황화 문명을 받아들인 것으로 생각하고 싶은 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무의식적인 생각일 것입니다(사대주의).
.
우리는 알게 모르게 '사대주의' 선입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보다 못하고, 열등하고, 조잡하게 생각되던 문명과 문화가 우리민족한테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인종적인계보라면 여러분은 쉽게 받아들이고, 또 이런 역사적 사실을 후손들한테 말해 줄 수 있겠습니까?
.
사람들은 과거를 미화시키려는 기질이 있습니다.
.
어느 나라, 어느 민족에게도 건국신화나 영웅들의 이야기는 있습니다. 이들 건국신화나 영웅담은 사실보다도 미화시킨 이야기를 후손들에게 물려줘 왔습니다. 로마의 건국신화에는 산속에 버려진-로물루스(Romulus)와 레무스(Remus)-쌍둥이 형제를 늑대가 키웠다고 합니다. 늑대의 젖을 먹고 자란 형제는 용감성이 뛰어나 후에 티베르 강변의 부족들을 진압하고 로마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
로마인이 자랑하는 ‘용맹성’은, 다른 시야로 보면 ‘침략성’입니다.
하지만 로마인들은 침략성이라는 단어 대신 용맹성을 강조합니다. 이렇게 사람들은 자신들과 관련된 과거는 미화시키고, 또 미화시킨 역사를 후손에게 물려줍니다.
.
우리가 이스라엘 민족에게 배울 것 중 하나가 선조의 과거를 미화시키는 것이 아니고, 사실 그대로를 전해 줄 때가 많았다는 점입니다. 출애굽기 20장과 신명기 5장의 십계명의 서문에는(서두)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에서 ‘종 되었던 과거사’를 인정함으로써, 비로소 성립할 수 있는 하나님의 구원과 명령을 시달합니다.
.
히브리인들, 특히 성경기자들은 어떤 역사적인 사건들을 객관화 하거나 그것을 객관적으로 보도하는 것보다, 그들이 기록한 본문들이 역사적 사실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에 신앙적 의미를 부여하고(신앙고백), 그것을 통하여 새로운 사실을 창조해 나가는데 그 특징이 있습니다(역사관).
.
오직 역사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 뿐이라는 것이 성경 기자들의 역사관입니다.
.
오늘의 본문 신명기 26장 5-9절은 ‘이스라엘의 조상들은 가진 것 없는 떠돌이 무리였으며, 뿌리 없는 방랑객들이었음’을 고백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그들의 선조들은 본래 떠돌아다니는 소수의 아람 사람이었는데, 초원의 먹이를 찾아서 애굽땅으로 내려갔다가 말할 수 없는 곤욕과 학대를 당하게 된 것을 말합니다.
.
그리고 그들은 “그 고난의 현장 한 가운데서 야훼를 향해서 부르짖었다. 그랬더니 야훼 하나님께서 그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강한 손과/ 편 팔과/ 큰 위엄과/ 이적과/ 기사로써 그들을 애굽으로부터 이끌어내시고, 인도하여,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을 주셨다” 는 것을 고백하는 역사의식을 해마다 되풀이해서 하나님에 의해 이루어진 ‘구원의 역사’를 후손들에게 가르쳐주고 있는 것입니다.
.
신명기 26장 1‐11절, 여호수아 24장 1-13절은 매년 되풀이 되어 이스라엘 총회에서 낭송되던 신조였습니다.
.
이 신조들 속에는 긴 이스라엘 민족 형성사가 아주 간략하고 짧게 요약되어 있습니다. 여기는 이스라엘 선조들이 갈대아우르를 떠나서 양떼를 몰고 중동지역을 배회하던 족장시절부터, 그들이 애굽에서 종살이하던 역사, 광야를 유랑했던 역사, 그리고 마침내는 가나인 땅에 들어가서 열두 지파가 각각 자기들의 설(살) 땅을 분배받고 정주하게 된 기나긴 민족형성사가 기록되어있습니다.
.
이러한 신앙의식이 이스라엘의 땅에 대한 생각의 근거를 이루고 있습니다.
(열왕21:1-3에 나봇의 포도원 사건, 신명기 19:14 참고)
.
이 신앙고백의 특징은 이스라엘이 역사 안에서 겪은 경험은 오직 하나님의 구원활동이라고 보는데 있습니다. 출애굽의 역사적인 경험도 이스라엘 자손들의 혁명적인 결단력이나 영웅적인 정치적 혁명의 일환으로 보지 않고, 이것은 야훼하나님의 구원 행위, 즉 강한 손과 편 팔과 이적과 기사로써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이끌어내신 바로 ‘야훼 하나님의 구원사건’이라고 봅니다.
또 죽음의 사막인 광야를 통과한 것도 그들의 탁월한 인내심과 강한 지구력의 힘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들을 전적으로 이끌어 주신 야훼하나님이 만나와 메추라기와 구름기둥과 불기둥의 이적으로 이끄시고 인도하신, 즉 하나님에 의해서 이루어진 ‘하나님의 사건’으로만 보고 있습니다.
.
가나안 점령도 인간의 노력이 아닌 '전쟁의 용사'로서 하나님이 주도하고 이끄셔서 비로소 얻은 땅이라고 봅니다(사사기 1장과 신명기7:17-23, 출애굽기 23:27-30 비교해서 참고) 말하자면 출애굽도 하나님의 사건이요, 광야 통과도 하나님의 사건이요, 가나안 점령도 하나님의 사건이라는 것입니다.
.
과거 역사상 허다한 침략자들과 전쟁의 승리자들은 전쟁의 승리를 자신의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성경의 기자들은 전쟁까지도 하나님의 행동으로 생각한다는데 유대인의 역사적 특징이 있습니다.
.
더 나아가 오히려 이러한 세속의 역사도 궁극적으로는 야훼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오직 구원을 베풀기 위한 것이라는(신앙고백) ‘신앙의 눈‘으로 역사를 보았습니다(역사관).
.
바로 이러한 역사에 대한 믿음과 신앙이 힘없고. 뿌리 없이 유랑하는 반유목민의 무리로 하여금 오늘날 세계의 이목과 관심을 일으키는 국가로서 끈질기게 살아남게 한 그 근원적인 힘이 되었습니다.
.
.
결론을 맺겠습니다.
.
신명기 26장 5-11절에는 이스라엘 조상의 유랑의 역사. 즉 쫒기고, 밀리며, 빼앗기고, 축출당하며, 수 없이 많은 수모를 겪으면서도 “어떻게 그들이 삶을 살아갔고, 새롭게 재건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기록이 담겨 있습니다.
.
성경은 이스라엘 선조들의 역사를 실제로 볼품없고, 매력 없으며, 수치와 수모로 가득 찬 사실 그대로 기록할 때가 많습니다. 사실 그대로를 기록한 것으로도 모자라서 수치와 수모에 찬 역사를 매년 되풀이해 후손들에게 들려주는 의식을 거행했습니다.
.
이 신앙고백적인 의식을 통해서 후손들에게 확인시키는 것은, 신의 약속을 받은 자들이라고 해서, 또는 신의 부르심을 받은 선택된 무리라고 해서 특별히 축복을 받는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의 약속을 성취시키는 일, 그 일의 참여로 인하여 오는 역사적 고난들을 받아들이고 감내할 것을 가르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
또 한 가지는 ‘역사의 주체는 하나님’이시라는 것과 ‘하나님의 역사의 궁극적 목표는 구원’이라는 것은 가르쳐 줍니다.
.
신명기 26장5-9절의 본문은 수치와 고난으로 얼룩진 역사라도, 신앙의 눈으로 볼 때는 희망을 가질 수 있음을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까지도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역사의식).

‘역사는 하나님의 활동 무대’이며, 그의 백성들이 어떠한 고난에 허덕인다 하더라도 ‘하나님이 구원을 베푸실 것’이라는 궁극적인희망이 이스라엘 선조들이 후손들에게 대대로 물려준 ‘위대한 유산’이었습니다.
.
.
.
.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너의 가운데에 계시니
그는 구원을 베푸실 전능자이시라.
그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
(스바냐 3장 17절)
“The LORD your God is with you,
he is mighty to save.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he will quiet you with his love,
he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Zephaniah 3:17)
.

0 Comments:

Post a Comment

<<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