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April 30, 2007

New Heavens and a New Earth






9. New Heavens and a New Earth

9."새 하늘과 새 땅"



- July 2001
- 2001년 7월


- About ‘the New Heavens and a New Earth’ in Isaiah 65, 66
-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the Song of suffering righteous persons
- 이사야 65장, 66장의 ‘새 하늘과 새 땅’ 이란?
- 고난 받은 의인들의 노래 ‘새 하늘과 새 땅’


Isaiah 65: 17~25
17 "Behold, I will create new heavens and a new earth. The former things will not be remembered, nor will they come to mind. 18 But be glad and rejoice forever in what I will create, for I will create Jerusalem to be a delight and its people a joy. 19 I will rejoice over Jerusalem and take delight in my people; the sound of weeping and of crying will be heard in it no more. 20 "Never again will there be in it an infant who lives but a few days, or an old man who does not live out his years; he who dies at a hundred will be thought a mere youth; he who fails to reach a hundred will be considered accursed. 21 They will build houses and dwell in them; they will plant vineyards and eat their fruit. 22 No longer will they build houses and others live in them, or plant and others eat. For as the days of a tree, so will be the days of my people; my chosen ones will long enjoy the works of their hands. 23 They will not toil in vain or bear children doomed to misfortune; for they will be a people blessed by the LORD, they and their descendants with them. 24 Before they call I will answer; while they are still speaking I will hear. 25 The wolf and the lamb will feed together, and the lion will eat straw like the ox, but dust will be the serpent's food. They will neither harm nor destroy on all my holy mountain," says the LORD.


October 1895, the intrigue by the Japanese Government made their hired Japanese men brutally assassinate the Empress Myeongseong, ‘Queen Min’ (The Eulmi Incident). In this precarious situation, what the incoming civilization-oriented pro-Japanese cabinet of Kim Hongjip first attempted was Danballyeong, or the Ordinance Prohibiting Traditional Topknots, or the Act of Short Haircut, which was proclaimed on November 15th of 1895, the 32rd year of the Emperor Gojong. The command was ‘Cut the hair topknots of adult men and discontinue wearing headbands.’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e Choseon Society at the time was where the folks considered ‘tying their long-grown hair in a topknot the symbol of filial piety to their parents, or the essence of human duties.’ The people subject adamantly opposed to the Danballyeong - the Bobbed Haircut Act - by taking it for not a simple cutoff of their hair but a serious molestation on their living bodies. Nationally pervaded by the recognition that the topknot-cutting act was an enforcement taken after Japan’s, it led to anti-Japanese sentiment. The anti-Japanese atmosphere incurred by the high-handed order prohibiting topknots gave rise to patriotic royal armies at various corners of the country, triggering a decisive detonator for royal army movement, as did the Eulmi Incident.

If it were today, it might not matter whether how short or how dyed their hair were in accordance to one’s personal freewill and taste. However, as back then as 1895, the very idea of having their precious hair and topknots cut off felt as shockingly shameful as the world turned towards opposite way.

As a result, the Kim Hongjip Cabinet’s coercion of people into obeying the regulation prohibiting topknots (Danballyeong) which was pronounced with no hard facts of the time taken into account was faced with resistance of the subjects and Confucian scholars, losing its public basis to carry out reforms of government affairs. Instead, the incoming pro-Russia cabinet of Yi Beomjin, Yi Wanyong, Yun Chiho, etc. withdrew the Haircut Act to win the disarrayed hearts of the people. With their hairdos trusted to their personal free will, the Danballyeong finally came to the end of the chapter.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forced short haircut’ was a common fate which East Asian countries had to suffer. With the Meiji Restoration, Japan cut their Chonmage(traditional Samurai topknot), a symbol of chivalry, and wore Western clothes. As a symbol of rejecting the style of Ch’ing dynasty in pursuit of modernization, China cut their traditional ‘Chinese queue(pigtail),’ a symbol of Ch’ing dynasty. Yet, different from ‘Chonmage’ and ‘Chinese queue,’ our ‘Danballyeong,’ the command ‘Joseon(the Korean Empire)’s topknot be cut,’ had a latent variable of ‘Japan’s invasion on Joseon.’ That’s why the ‘forced short hairdo’ left a scar in the history.

At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1910, the Korean Empire(Joseon) lost its sovereignty to Japan and fell to a colony of Japan. Because of politicians’ blunders, the sovereignty of the country was lost, and yet the ‘patriotic spirit’ of Chosen people was the last to be lost.
At this time, what Japan did was enforcement of the ‘Danballyeong’ once again.

At the time, some of high-class officials, intellectuals and men of wealth in Old Seoul were sagacious(?) enough to quickly accept the coloni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and was changing their appearances to the conditions of those days. Although sovereignty was taken over, it was the same land, the same folks as yesterday.... According to what one thought, there would have been a lot of their ways to live on. Old Seoul turned into another name of Old Seoul, the name of Joseon turned into the Korean Empire, and Japan founded their government-general for colonial rule. Ironically and virtually, most of them survived in high government offices whose names only changed.

As Joseon turned into the name of the Korean Empire, the Western things began to enter in a degree. Very few persons who were called ‘men in Western clothes’ took the place of traditional dress into Western clothes and took the place of traditional topknots into glossily-oiled bobbed hairdos. But then it was in one’s voluntary accordance to a changing situation within and without the nation, not by enforcement of government (Note: the execution of haircut order by Kim Hongjip Cabinet was too mandatory, while the haircut issue in pro-Russia cabinet was rather voluntary).

However, to take away not only Joseon’s sovereignty but also the patriotic spirit after 1910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Japan shouted for ‘Naeseon Ilche (=Japan and Korea are One Entity)’ and began oppression over Joseon. ‘Danballyeong(=the Topknot Cutting Edict)’ too was out of the policy of elimination of patriotic spirit rather than modernization of Joseon. Modern society thinks little of how to wear their hair and clothes in fashion, but until early 1900, all the countries as well as Joseon had lived in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of their own living styles and conditions. So, different from fashion of now, Joseonese outfit or dressing style of that time was inseparable from racial sentiments of Joseon. 1910 ‘Topknot Cutting Edict’ was ‘spiritual crackdown’ by Japan to change the sentiments the Korean had.

In the same area of Far East, China, Korea and Japan have each own individuality in dress and outfit. Topknots alone, the shape of Joseon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and Japan. By cutting the topknots representative of racial trait and changing traditional clothes into Japanese common costume, they tried to forcibly unify Koreans’ outward appearance into the ‘Naeseon Ilche(=Japan and Korea are One Entity)’ Japan shouted for. It was an outrageous outlet of greed that outward appearance first be into one nation regardless of Japan or Joseon.

At this time, high officials and wealthy intellectuals of Old Seoul conformed easily to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Namely, they sagaciously went for the current of the times. Yet, Confucian scholars in local provinces refused to compromise. Our country’s traditional sentiments has taken it that one of the last to be done was a child dying in front of his parents and killing themselves. The folks who had lived their entire lives in this way of thinking were faced with the ‘Danballyeong,’ or the Topknot Cutting Edict. Here and there were appeals and entreaties flying in. There were some cases where they even committed suicide.

In the eyes of the civilized gentlemen in Old Seoul at the time, they were merely ‘stupid, hardheaded, slow-witted and self-opinionated oldsters.’ Yet, those who best endeavored to truly keep the ‘Spirit of Joseon’ were these scrupulous, close-minded and self-principled elders.
Asked which persons are clever, one might refer to persons who chance what is going on and know how to change their appearances and ideology in accordance to the changing society. But then, asked who have been faithful to the Spirit of Korea, it is those rural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in anonymity in the hinterland who died against the Japan’s colonial policy in the time of ‘Danballyeong’ edict.

The bible has much in common.

BC 597, Babylon invaded the Kingdom of Judah (Zedekiah, last king of Judah the South Kingdom, BC597~586). Babylon set fire on and destroyed buildings in Jerusalem, killed folks, and even demolished the castle and the Temple (see Jeremiah 52, Lamentations). When the Babylon army withdrew, they captured very important persons in the country such as the King of Israel, high officials in the government, Scribes and high priests (see 1 Kings 25, Jeremiah 52:24~30). Bible writers put emphasis on important characters of the government like King Jehoiachin and Zedekiah. 2 King 25:21 expresses this situation as ‘Judah went into captivity, away from her land.’

Now, there are numerous people remaining on the land of Judah.
On the land of Palestine, poor peasants and low-class priests alone remained (Jeremiah 52:16). The petty farmers left behind on the land are Israelite people, and even if chief priests - mostly low priests left behind - did their best in their duties, the Bible has no record about their lives, or is negative about them if any. Bible writer writes Israel’s history stopped at 586 B.C.
The writer found the context of history not from farmers and low priests who were left on the land farming and serving God but from King Jehoiachin, and dignitaries, Scribes and chief priests who were tagged along to Babylon 597 B.C. (including prisoners 586 B.C.). Ezekiel was one of prisoners in 597 B.C. and Nehemiah and Ezra are descendants of these prisoners held to Babylon.
Look at the case of Korea as well.
Japan in colonial period of Korea tagged along the Crown Prince Yi Eun(posthumously King Yeong) to Japan at his age of 11, 1907, who were the son of King Gosong and who was supposed to be enthroned to the Korean Empire in succession to the last successor of Joseon king Emperor Sunsong. Afterward, out of three finally nominated Japanese Crown Princesses at the time, Japan intentionally forced him to marry Lady Yi Bangja who had been deprived of the right of Crown Princess after her being diagnosed ‘not capable of producing offspring, or her possible sterility,’ for the nominally plausible cause of so-called ‘Japan and Korea are One Entity.’

To stop the seed of Yi Dynasty was Japan’s policy of marriage.
By any chance if King Yeong(Yi Eun), the last Crown Prince of the Korean Empire and His Imperial Highness the Crown Prince ‘Yi Gu,’ the son of King Yeong and Lady Yi Bangja and the rightful successor to the Korean Empire had returned to his homeland at the age of 15 at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if they the descendants of the Korean Empire in unison had shouted out ‘We are the legitimate descendants of Joseon,’ then, would the people, social leaders and fighters for national independence who would have been mutely endured in so many distresses and great suffering on their motherland, would they have passed it over?

Looking at the Bible, it reads: the returning homecoming people claim their legitimacy, holding their dominance over the existing people on the land of Judah.

Why don’t you too turn the table to think?

Like in the parable of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the older son who worked all along in the home, grumbles a lot of complaints. Say, if somebody comes back in a few decades of years before them who remained behind, taking great pains in farming, giving birth to children and serving God in their own way, and reproaches them in claims “Release the land,” “Stop now serving gods,” “You are not pure Israelites, so do not attend the restoration of the castle and the Temple” and “You so mixed with Samaria that you are unclean,” then who would like it (see Nehemiah, Ezrah)? While it felt bad and unfair, the existing settlers couldn’t but lose the dominance to the homecoming prisoners.

In Korea too, the men of yesterday who used to receive stipends from the Korean Empire acted themselves shrewdly as stipend-receiver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as soon as the sovereignty was turned over to Japan. Even though they too were Joseon people, were born in Joseon and lived in the realities of Joseon, even if they are sad about the situation of Joseon, considering they received stipends from Japan, were they as brokenhearted as the peasants in distresses on the native land? Or, were they treated as unfairly as those patriotic young ablaze with chivalrous spirit?

Also, when the Japan government systematically oppressed Joseon, the Joseonese high officials who received stipends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side did they take? What side high officials was on was the Japanese Government. If they later made defenses of “It was against their will,” the history itself judges their opportunist behavior. Even if it had been for their livelihood, their behavior is none of pride to boast about. On the contrary, it is judged, the patriotic spirit of village seniors who had to kill themselves in full of lamentations to a fault is still greater.

In this sense, it is true, Ezekiel, Nehemiah and Esther in the Bible too received stipends and got help to a degree from the authorities of Babylon that ruled over Israel at the time.

If one get a stipend and help from another, he has no option but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other to a degree. Under the help of ruling country, they attempted to restore the Temple and rituals in Israel. It was also their duty to leave racial spirit and ritual functions for God down to posterity. And it is written to have been endowed in the grace of Jehovah God.
Yes, it is.
In the sovereignty that is already taken away, it is important to maintain somehow nation’s specific racial ceremonies as God-chosen people.

However, the farmers and low chief priests having remained on the land who disregarded the homecoming folks, calling them dirty, who are they? This way, when there occurred people who were ignored out of dominance, there were many words to say. Moreover, it was at the time the situation under colonial rule of another nation. How did they express what they had in their hearts? Examples of our poets’ under 36 years of colonial rule:

- Yi Yuksa
1) And thus after numberless years have passed again.
A superman may come to this wilderness
On the back of a white horse.
Gladly I will let him cry out with abandon.

- Yi Sanghwa
2) The land no longer our own -
Does spring come just the same
to the stolen fields?
Along the paddy path like the part in my hair
Where blue sky and green fields meet and touch
I walk and walk as if in a dream.
....
However, now -
The land no longer our own,
I am afraid even spring might be stolen.


- Han Yongwun
3) Thou art gone.
Ah, thou art gone, whom I love.
....
Ah, even though thou art gone,
I have not sent thee away.
The song of love that cannot resist its own rhythms
Whirls around thy silence.

- Yun Dongju
4) Tomorrow, the day after tomorrow, or on a pleasant day
I also have to keep another line of confession in the book.
- At that time, at so young age
How did I make such a shameful confession?

The above poets are The Wilderness, Does Spring Come To The Stolen Fields, The Silence Of My Beloved and The Book of Confessions, what we learned in our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hese writers of poems are not the people who received stipends from Japan Government under the colonial days. Just, they were poets and pioneers. They were not guaranteed positions of high. They were not chasing for snobbish success. Just because feeling sorry for the realities of their own country, they put the hurt emotions into ‘poetic language.’ More than emitting, they tried to inspire the racial spirit and cherished prayer for independence into the minds of Joseon’s rising generation.

Look, however! They are poems that sang like the sovereignty of stolen country, racial spirit and cherished prayer for independence. But they are avoiding direct expressions. The reason was, the days they worked and lived in was where they have been being repressed under the oppression of Japan colonial rule. While they tried to enlighten racial spirit and shouted for Joseon folks to stand together one another till the very day of independence, what speech they used is the words like the wilderness, the stolen fields, spring, my beloved, the book of confessions and such.

Taking lessons of them in middle and high school, our national citizens looked into what truly the poets wished to speak through these poems as well as subjects and materials. In the study of a poem of 70~80 years ago, even the persons of the same country cannot tell the linguistic lines of the poem until they learn such as the situation of the poem-written days and the thought of the poet. Even collegians, doctors and poets of foreign countries reading these poems, yet without learning the contemporary history the poems belonged to, they cannot discuss the true meaning of the poems and the spirit of the poets they wished to express in poetry.

The characteristic of my sermon is, by analyzing the times and circumstances of the text, and by getting at what the text intended to say, that I am letting you know. You know the word ‘grace’ you use often? When a certain minister on the pulpit touches you listner’s feeling by adjusting his speech of words eloquently, you say ‘you’ve got grace.’ Yet, ‘grace’ the Bible says is used, while ‘God’s words are descending’ in the times and circumstances different on each text, and according those words when the believer of Him repents, change one’s past behavior, refreshes one’s lost will, thanks God, and so forth. Among others, when one listens to God’s words, repents his past sins and returns to God, right this amazing occasion the person has got grace in the words, it can be judged (see Ezra 10).

Today’s text Isaiah 65:17~22, 66:22~24 must be interpret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oppressed people expressed their feelings through poetic language according to their specific times and circumstances. King and high officials of the government, Scribes, high priests were said to be drawn to Babylon. After the fall of Babylon, and as soon as Cyrus the Great of Persian authorities emerged, things were turned. He released displaced citizens from Israel and other countries, giving freedom to the realm of religion (see Isaiah 44:28). Among the homecomers from Persia were the descendants of high chief officials.
Towards the low priests who had remained home doing services in the Palestine, there is a conflict that the returners come and say like: “Now that we are come, you duties are done. From now on, the services for God is to be done by us. And you are confined to simply errands.” (see Nehemiah 10:38~39, 13:22, Ezra 8) If it is you that had been the low priests who remained serving God earnestly, how would you have felt?

In Isaiah 55~66 and Zechariah 11~14, as low priests got treated poorly and harshly in that situation, there are many parts that sang their desperate and bewildered sentiments into ‘eschatology’ of future.
Though so were our country’s poets, the prayer lines of the low priests (Levites), pushed aside through abuse by the other same priests, who are wishing that the colonial ruling nation must be perished and the ugly high priests receiving stipends from their ruling nation brag themselves of their own being self-righteous and lofty must also be perished if ‘the very day of the Lord’ comes, these same prayer lines are the contents of today’s text.

Instead, there contain expressions of will and yearning for the future that ‘those who rely hope only upon Jehovah,’ or ‘faithfully upright persons’ wish to live with their spirit heightened and forever along in the presence of the Lord almighty, if only the day of Jehovah comes.

Isaiah 65:17~25 is the ‘song of faithfully upright persons’ who are yearning for this reign of God the Supreme. To analyze the contents, it means such as Jerusalem that never be invaded, people of joyfulness, the place where knows neither wail nor cry, where everybody lives till 100, where no one has their home taken away, where one can eat their own growing grapes, where no grape of their own is looted, where one’s own pains is returned to oneself, where one lives with their next generations, where God is responding even before them looking for God, and furthermore beasts don’t hurt each other. These are the contents of the Chapter 65:17~25.

What is associated with these words is the opposite situation, that is, the society of such as folks who underwent any dreadful war, people that are defeated in war, the vineyards that are looted, families who died young and got scattered, the place where one’s pains are not returned, where no response of God is met, and where one has to struggle against another to survive.

To analyze more rightly, it should be surmised these hard facts lie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ext. The world opposite to these realities, namely, the place where justice, compassion and reign of Jehovah are present, such world is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says the text.

Look at Isaiah 66:5. If you look at verse 5 ‘Your brothers who hate you, and exclude you for My holy name ... Yet they will be put to shame,’ it will help you understand ‘Those (high priests) who make believe holy and the opportunists who are arrogantly snobbish accepting Gentile offers shall fall to the ground (verse 17).’ And along comes the futuristic word of proclamation, those who have relied only upon Jehovah, shall God choose them and make them heavenly chief priests (verse 21). Only these celestial beings shall qualify for worshiping in the presence of Jehovah, says the Bible.

That is to say, in the place Jehovah alone reigns, the place where the persons that are worshiping only Jehovah do divine services to Jehovah shall be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it is written (Isaiah 66:22~24).

So much so,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in the text of Isaiah is the song of their aspiring new world in which, the realities where the singing poets are carrying on are now despised, distressed and plundered by power nations, the people who are looking at their children dying in the ravages of war, and the ‘lives of folks who are weary on the land,’ such gloomy things don’t be repeated and fundamental human rights be guaranteed.

Here are now conclusions: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in Isaiah 65:17~25 and 66:22~24 is, it is the place all variety of absurdities in the mortals’ world - especially, the world in which the faithful are abused while merely some time-serving opportunists who came to terms with Persian authorities take the leadership - shall perish on ‘the Day of God Almighty,’ and where all the tears of the faithful who have been looking only up to God shall be wiped away to their comfort, says the Bible (Revelation 21:4).

The harder the realities are, the more hardships there are in realities and the more disrespected the faithful are in realities, truly the more ‘righteous’ is the one who waits only for God’s justice, compassion and His reigning, says today’s text down to us.

Dear everybody too, may thou have this faith of the faithful.


“For, behold, I create new heavens and a new earth: and the former shall not be remembered, nor come into mind.” (Isaiah 65:17)

Welcome visitors to My personal homepage,
http://www.mryoum.com/skin_youm_html/eindex.htm/




새 하늘과 새 땅





9."새 하늘과 새 땅"

9. New Heavens and a New Earth




- 2001년 7월
- 이사야 65장 17-25절에서 말하는 ‘새 하늘과 새 땅’ 이란?
- 고난 받은 의인들의 노래 ‘새 하늘과 새 땅’
- July 2001
- What the ‘New Heavens and a New Earth’ in Isaiah 65: 17~25 refers to?
-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the Song of suffering righteous persons





이사야 65장 17~25절
17 보라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나니 이전 것은 기억되거나 마음에 생각나지 아니할 것이라 18 너희는 나의 창조하는 것을 인하여 영원히 기뻐하며 즐거워할지니라 보라 내가 예루살렘으로 즐거움을 창조하며 그 백성으로 기쁨을 삼고 19 내가 예루살렘을 즐거워하며 나의 백성을 기뻐하리니 우는 소리와 부르짖는 소리가 그 가운데서 다시는 들리지 아니할 것이며 20 거기는 날 수가 많지 못하여 죽는 유아와 수한이 차지 못한 노인이 다시는 없을 것이라 곧 백세에 죽는 자가 아이겠고 백세 못되어 죽는 자는 저주 받은 것이리라 21 그들이 가옥을 건축하고 그것에 거하겠고 포도원을 재배하고 열매를 먹을 것이며 22 그들의 건축한데 타인이 거하지 아니할 것이며 그들의 재배한 것을 타인이 먹지 아니하리니 이는 내 백성의 수한이 나무의 수한과 같겠고 나의 택한 자가 그 손으로 일한 것을 길이 누릴 것임이며 23 그들의 수고가 헛되지 않겠고 그들의 생산한 것이 재난에 걸리지 아니하리니 그들은 여호와의 복된 자의 자손이요 그 소생도 그들과 함께 될 것임이라 24 그들이 부르기 전에 내가 응답하겠고 그들이 말을 마치기 전에 내가 들을 것이며 25 이리와 어린 양이 함께 먹을 것이며 사자가 소처럼 짚을 먹을 것이며 뱀은 흙으로 식물을 삼을 것이니 나의 성산에서는 해함도 없겠고 상함도 없으리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1895년 10월에 명성황후 ‘민비’가 일본정부의 계략에 의해 일본자객들에게 무참히 살해를 당한(을미사변) 어수선한 시국에 들어선 친일성격의 김홍집 개화내각에서 맨 먼저 시도한 것이 고종 32년인 1895년 11월 15일에 공포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망건을 폐하라’는 ‘단발령’이었습니다.

당시의 조선사회는 유교의 영향으로 ‘머리를 길러 상투를 트는 것이 인륜의 기본인 효의 상징’으로 여기던 사회였습니다. 백성들은 단발령을 ‘단순히 상투를 잘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신체에 가해지는 심각한 박해’로 받아들여 완강하게 반대했습니다.
또 단발령이 일본을 본 따서 만든 제도라는 인식이 전국적으로 확산돼 반일의식으로 이어졌습니다. 단발령으로 촉발된 반일분위기는 전국 각지의 의병운동으로 전개됐고, 을미사변과 함께 의병운동의 결정적 기폭제 구실을 했습니다.
지금 같으면 머리를 짧게 깎거나 염색을 하거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서 마음대로 하지만 1895년 당시만 하더라도 상투를 잘라 버린다는 것은, 세상이 바뀌는 것만큼 충격적인 일이었습니다.

결국 당시의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표된 김홍집 내각의 단발령 강요는 백성들과 유생들의 저항으로 국정개혁을 결실시킬 대중적 지지기반을 상실하고 대신에 이범진 이완용 윤치호 등을 중심으로 한 친로 성향의 내각이 등장하여 그 동안 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고자 단발령을 철회하고, 두발모양을 각 개인의 자유의사에 맡기도록 함으로써 비로소 단발령은 일단락됐습니다.

근대화과정에서 '단발'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겪어야 했던 공동적인 운명이었습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명치)유신과 더불어 무사를 상징하는 ‘존마게’(정곡)를 자르고 양복을 입었으며, 중국에서도 청조를 배척하고 근대화하는 상징으로 청족의 상징인 ‘변발’을 잘랐습니다.
하지만 대한 제국의(조선) ‘상투를 자른다.’ 는 ‘단발령’은 ‘존마게’나 ‘변발’과는 달리 ‘일본의 조선침략’이라는 잠재 변수가 숨어있었습니다. 그래서 ‘단발’이 역사의 상처로 남게 된 것입니다.

1910년 '한일 합방'으로 대한 제국(조선)은 일본에게 주권을 빼앗기고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되고 말았습니다. 정치인의 잘못으로 나라의 주권은 빼앗겼지만, 조선 백성들의 ‘민족 혼’까지는 쉽게 빼앗길 수가 없었습니다.

이때 일본이 취한 조치가 또 한번의 '단발령' 강행이었습니다.
당시 한양의 고위관직에 있던 분, 지식인, 재산가들 중에는 일본정부의 식민지 정책을 재빨리 받아들여 지혜롭게도(?) 당시의 정세에 자신의 외모를 바꿔나갔습니다. 주권이 바뀐 세상이라곤 하지만 땅도 어제의 땅이고, 사람도 어제의 사람인데.... 본인들이 생각하기에 따라서 살아 갈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었습니다.
한양이 경성으로 바뀌고, 조선이 대한 제국으로 바뀌고, 일본이 총독부를 설치하여 식민지 정치를 펼쳐도 실지적으로 정부의 고관들 대다수가 이름만 바뀌는 관직에서 살아남았습니다.

조선이 대한제국으로 바뀌면서 어느 정도 서양 문물이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양복쟁이'라 불리던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한복대신 양복을 입으며 상투대신 짧게 자른 머리에 번들번들하게 머리 기름을 바르고 다녔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본인들 각자가 서서히 변해가는 국내외 정세에 따른 것이지 정부에서 강제로 시켰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김홍집 내각에서의 단발령은 강제집행의 성향이 있었으나, 1896년 친러파 내각의 탄생과 함께 단발문제도 각 개인의 자유의사에 맡겨졌음)

그러나 1910년 한일합방이후 일본은 조선의 주권뿐 아니고 민족정신까지 빼앗아 가고자 '내선일체'를 외치며 조선에 대한 탄압을 시작했습니다. '단발령'도 조선의 근대화보다는 민족혼을 박탈하기 위한 정책에서 나온 것입니다. 현대사회에서는 머리모양이나 옷 입는 것을 유행에 맞춰 가볍게 생각하지만 1900년대 초까지는 조선뿐 아니고 전 세계 각국에서 그 민족 특유의 삶의 방식과 여건에 맞는 의•식•주 속에서 사람들이 생활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의 유행과는 달리 당시 조선인의 의장은(의관) 조선인의 민족정서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었습니다.
1910년의 '단발령'은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정서를 바꾸려고 하는 일본의 ‘정신적 탄압’이었던 것입니다.

같은 극동 지역이라도 중국, 한국, 일본의 복식과 의장은 제각기 특성이 있습니다.
상투만 하더라도 조선의 상투 모양은 중국•일본 것과는 판이하게 다릅니다. 민족의 특성을 나타나는 상투를 자르고, 한복을 국민복으로 바꾸면서 일본이 외친 '내선일체'에 겉모습부터 일치시키려 했던 것입니다. 겉모습부터 일본•조선 할 것 없이 한 민족으로 만든다는 터무니 없는 탐욕의 발로였습니다.

이때 한양(경성)의 고관대작이나, 지식인 부유층은 쉽게 정세를 따랐습니다. 즉 세상 살아가는데 지혜롭게 대처했습니다. 그러나 지방의 유생들은 타협을 거부했습니다.
우리나라 정서에는 자식이 부모 앞에서 죽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은 인간이 살면서 가장 못 할 짓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이런 생각을 하며 평생을 살아온 분들이 '단발령'이 내려지자 여기저기서 호소문이 날아들고, 더러는 스스로 자신의 목숨을 끊는 분들이 속출했습니다.

당시 한양의 개화된 신사 분들이 보면 '미련하고, 고지식하고, 답답하고, 말귀 못 알아듣는 ‘늙은 고집쟁이’에 불과하지만, 진실로 ‘조선의 혼’을 지키려 한 분들은 이 고지식하고, 답답한, 고집쟁이 분들이었습니다.

어떤 사람이 현명하냐고 물으면 시국을 빨리 파악하고 변화하는 사회에 맞춰서 자신의 외모와 생각을 바꿀 줄 아는 사람을 가르쳐 현명한 사람이라고 할 것입니다. 그러나 누가 더 한민족의 혼을 답습했냐고 물으면 시골에서 이름 없이 살았지만 '단발령' 때 일본의 식민정책에 항거해 목숨을 끊은 시골유생이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성경도 이런 상황과 비슷한 부분이 많습니다.

BC597년에 바벨론이 유대왕국을 침략했습니다.(남왕국 유대의 20대 마지막 왕인 시드기야 왕, BC597-586) 바벨론이 예루살렘 도성의 건물에 불 지르고, 부수고, 사람들을 죽이고 성곽과 성전까지고 부셔버렸습니다.(예레미야52장, 예레미야애가 참고) 또 바벨론 군이 철수 할 때는 이스라엘의 왕을 비롯해 정부의 고위 관부, 서기관, 제사장 등 그 나라의 중요 인물들이 포로로 잡혀갔습니다.(왕하 25장 참고, 렘 52;24‐30참고)
성경의 기록자들은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간 여호와긴 왕과 시드기야왕을 비롯한 정부의 중요한 인물들에게 중점을 주고 있습니다. 왕하 25장 21절은 이런 상황을 두고 '유다가 사로잡혀 본토에서 떠났더라' 하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유대 땅에는 무수한 백성이 남아있었습니다.

팔레스틴 땅에는 가난한 농부들이나 하급 제사장들만 남았습니다.(렘52:16) 그 땅에 남겨진 농부들도 이스라엘 백성들이고, 제사장들이 ― 남겨진 제사장은 주로 하급 제사장들 ― 자기의 맡은바 소임을 다 했어도, 성경은 이들의 삶에 대해서나 언급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부정적입니다. 성경기자는이스라엘의 역사는 586년에 끊어진 것으로 기록합니다.
역사의 맥을 그 땅에서 남아서 농사짓고, 하나님을 섬긴 하급 제사장에게서 찾는 것이 아니고 597년 바발론에 여호와긴 왕과, 함께 잡혀간 고관대작, 서기관, 제사장들에게서 찾았습니다. (586년 포로 민들도 추가)에스겔은 597년에 잡혀간 포로민 중의 한명 이었고 느혜미야, 에스라는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간 이들의 후손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일제의 식민통치당시 일본은 우리나라의 마지막 왕의 계승권 자인 - 고종 황제의 아들이며 - 순종 황제에 이어서 대한제국의 황제에 오를 영친왕 ‘이은 전하’가 1907년, 11세에 일본에 끌려간 후에 당시 일본 왕세자비 간택을 위한 최종 후보 세 사람에 올랐으나 ‘자손을 생산하지 못할 것’이라는 판정을 받고 왕세자비에서 탈락됐던 '이 방자여사'와 내선일체라는 허울 좋은 정책으로 혼인을 시켰습니다.
조선왕조의 씨를 말리려 했던 것이 이들의 결혼 정책이었습니다.

만약 1945년 해방 되었을 때 조선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이나(이은), 영친왕과 이방자여사의 아들이며 대한제국의 적통 계승자인 ‘이구’전하가 비록 15세의 소년이지만 고국에 돌아오고, 대한 제국의 후손들이 합세해서 '우리가 조선의 맥을 잇는 정통파'다 라고 소리 높이면, 이 땅에서 그 많은 고초와 핍박 속에서 묵묵히 견디어온 백성들과 사회의 지도자들, 독립투사들이 가만히 있었겠습니까?

성경을 보면 돌아온 귀향 민들이 정통파를 외치며 유대 땅에 남아있던 사람들을 무시하고 자기들이 주도권을 장악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입장 바꿔 생각해 보십시오.
탕자의 비유에서처럼 집에서 죽어라고 일 만한 큰아들은 불만을 털어놓게 됩니다. 그 땅에 남아 죽어라고 고생하며 농사짓고, 자식 낳아가며, 그들 나름대로 하나님을 섬기던 그들에게 몇 십 년 만에 나타나 “땅 내놓으라.”, “하나님 섬기는 일도 이제는 그만해라.” “너희는 순수한 이스라엘인이 아니니 성곽이나 성전 복귀하는 일에도 참여하지 마라!” “사마리아인과 어울린 너희는 불결하다”고 몰아세우면 그 누가 좋아하겠습니까? (느헤미야. 에스라 참고)분통터지고 억울한 일이지만, 귀향한 포로 민들에게 그 땅에 남아있던 백성들은 주도권을 빼앗길 수밖에 없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어제까지 대한제국의 녹을 먹던 사람들이 주권이 일본으로 넘어가자 일본정부의 녹을 먹는 자리로 지혜롭게 처신했습니다. 이들도 똑같이 조선 백성이고, 조선의 땅에서 태어 낳고, 조선의 현실 속에서 살았더라도, 일본의 녹을 먹는 관계로 ― 조선의 상황을 가슴 아파한다고 하지만 ― 그들이 이 땅의 농부들처럼 생활고에 시달리며 가슴 아팠습니까? 아니면 의협심에 불타는 애국 청년들만큼 억울한 일 당했습니까?

또 일본정부 밑에서 녹을 먹던 조선인 고위 공직자들이 일본정부가 조선을 정책적으로 탄압할 때 어느 편을 들어주었습니까? 고위 공직자들이 편들었던 것은 일본 정부 쪽이었습니다. 후에 “본의 아니었다.”는 변명을 해도 역사는 이들의 행동을 평가합니다. 살기 위한 조치라 했더라도 이들의 행동은 자랑할 것이 못됩니다. 오히려 울분에 못 이겨 스스로 목숨을 끊은 지방의 촌로의 민족혼이 더 귀하다고 평가합니다.

성경속의 에스겔, 느헤미야, 에스라도 어느 정도는 이러한 입장 속에서 당시 이스라엘을 지배하던 바벨론 당국의 녹을 먹고 도움을 받았습니다.
녹을 먹고, 도움을 받으면 당연히 어느 정도는 그 쪽의 형편을 헤아릴 수밖에 없게 됩니다. 이들은 지배국의 도움을 받아 이스라엘 성전과 제의를 재건 하고자 했습니다. 또 민족의 정신과 하나님에 대한 제의를 후손들에게 남겨주는 것이 이들이 할 일 이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여호와 하나님의 은혜 속에서 베풀어진 일이라고 했습니다.

맞습니다. 이미 빼앗긴 주권 속에서도 어떻게 하든지 하나님 백성으로서 민족 특유의 예배의식을 지켜나가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귀향 민들이 불결하다고, 상대조차 하지 않은 그 땅에 남아있던 농민들과 하층 제사장들은 무엇입니까? 이렇게 주도권에 밀려난 사람들이 생겨나자 할 말들이 많아졌습니다. 더구나 그때는 남의 나라의 식민지 통치아래의 상황이었습니다. 이들은 가슴속에서 하고 싶은 말을 어떻게 표출 했을까요? 36년 식민지 통치아래서의 우리나라 시인들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1) 이 육 사

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
...
2) 이 상 화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푸른 한울 푸른 들이 맞붙는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

3) 한 용 운

님은 갔습니다. 아 아 사랑하는 나의님은 갔습니다.
‥‥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제 곡조를 못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
4) 윤 동 주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희록을 써야 한다.
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러운 고백을 했던가
...
...
위 시들은 여러분들이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배운, 광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님의 침묵, 참희록 입니다.

이 시들을 쓴 사람들은 일본 식민지 치하에서 일본 정부의 녹을 받고 살아간 사람들이 아닙니다. 다만 시인이요, 민족의 선구자일 뿐입니다. 높은 지위를 보장 받은 것도 아니고, 출세를 위해 발버둥친 것도 아니었습니다.
내 민족, 내 나라의 현실이 가슴 아파서 그 아픔을 ‘시적 언어’로서 발산한 것입니다. 발산한 것 이상으로 당시의 조선 청년들에 민족의 혼과, 광복을 향한 염원을 불어넣으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보십시오!
빼앗긴 나라의 주권, 민족혼, 광복의 염원 등을 노래한 시들이지만 직접적인 언급은 피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살고, 활동하던 시절은 일제식민지 치하에서 탄압 받던 시절이었기 때문입니다. 민족혼을 일깨우려 했고 광복의 그날까지 조선인끼리 뭉쳐서 그날을 맞이하고자 외치지만 그들이 사용한 언어는 광야, 빼앗긴 들, 봄, 님, 참회록 등의 단어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중•고등학교시절 이 시를 배울 때 주제와 소재만이 아니고, 이 시인들이 이 시를 통해 진정으로만 하고자 하는 내용들은 탐구했습니다. 같은 나라 사람들인데도 불과 70-80년 전의 시를 배울 때에도 그 시대의 상황, 그 시인의 사상, 등을 배우고 난 다음에 비로소 시의 언어를 탐구합니다. 이 시들을 외국의 대학생, 박사, 시인들이 읽는다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근대사를 배우지 않고는 이 시들의 참 의미와 시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시인의 정신을 논할 수 없습니다.

제 설교의 특징은 본문의 시대와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본문이 말하고자 했던 의도가 무엇인가를 분석해서 여러분에게 알려주는데 있습니다. 여러분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은혜’라는 말도 강대상위에서의 목사가 말솜씨를 능수능란하게 조절함으로써 듣는 여러분의 감정을 움직일 때 은혜 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성경에서 말하는 ‘은혜’는, 본문마다 다르게 가지고 있는 시대와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임할 때’ 그 말씀에 맞게 회개하거나, 행동을 돌이키거나, 의지를 불태우거나, 감사하거나, 할 때 사용합니다. 특히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지난날의 잘못을 회개하고 돌아설 때, 그 말씀에 은혜 받았다고 평가합니다.(에스라 10장 참고)

오늘의 본문 이사야 65:17‐22, 66:22‐24절은 억압 받던 사람들이 시적언어를 사용해 자신의 시대와 상황에 맞춰서 감정을 표출했다는 전제 하에 해석해야 합니다. 왕과 정부의 고관들, 서기관, 지위 높은 제사장들이 바벨론을 끌려갔다고 했습니다.536년 바벨론이 망하고 페르샤 당국의 고레스 대왕이 등장하자 사정은 바뀌어 이스라엘뿐만 아니고 각국에서 온 포로 민들을 풀어주고 종교영역에도 자유를 주었습니다. (사 44:28 참고)페르샤로부터 돌아온 귀향민중에는 고위급 제사장 자손들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팔레스틴에 남아서 제사를 인도하던 하급 제사장들에게 '우리가 돌아왔으니 너희 할 일은 끝났다. 이제부터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는 우리가 맡을 테니 너희는 우리들 심부름이나 해라'는 식의 대립이 나타납니다.(느헤미야 10:38‐39, 13:22, 에스라 8장 참고)여러분이 팔레스틴에 남아서 성심으로 여호와를 섬기던 하위 제사장들이었다면 그 심정이 어떠했겠습니까?

이사야 55‐66, 스가랴11‐14장 속에는 이러한 상황에서 하급 제사장들이 현실에서 푸대접 박고, 구박 받자, 그들의 절박하고 황당한 심정을 미래라는 ‘종말론’에 실어 노래한 부분이 많습니다.

우리나라의 시인들도 그랬지만, 같은 제사장 이면서도 구박 받고 밀려나야만 하는 하급 제사장(레위인)들이 ‘여호와의 날’이 오면 식민 통치하는 나라도 멸망하고, 식민통치 하는 나라의 녹을 먹고 살면서 자기들만 의롭고, 잘났다고 떠들어 대는 꼴 보기 싫은 고위 제사장들도 빨리 망하라는 염원을 담은 기도문이 오늘 본문의 내용들입니다.
그 대신 ‘오직 여호와께 희망을 걸고 사는 무리’, 즉 ‘의인’들은 여호와의 날 이후에는 기를 펴고 살면서 평생을 그 분 앞에서만 살겠다는 의지의 발산이자, 미래에 대한 동경이 담겨 있습니다.

이사야 65장 17‐25절은 바로 이런 하나님의 통치를 기다리는 ‘의인들이 노래’입니다.
내용을 분석해 보면 침량 당하지 않는 예루살렘, 기쁨의 백성, 우는 소리와 부르짖음이 없는 곳, 누구나 100세까지 살고, 자기 집을 빼앗기지 않고, 자기가 재배한 포도를 먹고, 자기가 재배한 포도를 약탈당하지 않고, 본인의 수고는 본인에게 돌아오고, 자손들과 함께 할 수 있고, 하나님을 찾기 전에 미리 응답하시고, 하다못해 짐승까지 서로 해함이 없는 세계. 이 말들이 65장 17‐25절의 내용입니다.
.
이 말들을 들을 때 연상되는 것은 이 말들과 반대 되는 상황 즉, 무서운 전쟁을 치룬 사람들, 전쟁에서 패한 사람들, 약탈당한 포도원, 젊은 나이에 죽고, 뿔뿔이 흩어진 가족들, 본인의 수고가 헛되고, 하나님의 응답은 이루어지지 않고, 살기위해 서로 투쟁하고 다투어야 하는 사회입니다.
이러한 현실이 본문의 시대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추측해야 제대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실의 사회와 반대되는 세상, 즉 여호와의 공의와, 여호와의 긍휼과, 여호와의 통치가 임하는 곳, 그러한 세상이 본문에서 말하는 ‘새 하늘과 새 땅’ 입니다.
.
이사야 66장 5절을 보십시오.
5절 "너희 형제가 너희를 미워하며 ~ 쫓아내며 ~ 그들은 수치를 당하리라"를 보시면, ‘스스로 거룩한 제하면서도(상급 제사장들) 이방제의를 받아들여야 하는 교만하고, 패역한 자들은 망한다’는(17절)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여호와만을 의지 하였던 자들을 여호와께서 택하여 제사장으로 삼겠다는 (미래적인)선포의 말씀입니다(21절). 이런 자들만이 여호와 앞에서 항상 경배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여호와께서만 통치하는 그 곳에서, 여호와만을 경배하는 사람들이, 여호와께 제사하는 그 곳을 ‘새 하늘과 새 땅’이라고 했습니다(사66:22‐24).
그 만큼 이사야서 본문의 '새 하늘과 새 땅'은, 노래하는 시인들이 살고 있는 현실세계가 무시 받고, 곤경에 처했고, 강대국한테 약탈당하고, 전쟁의 참화 속에서 자식이 죽어가는 것을 본 사람들, ‘땅에서 지친 사람들의 삶’이 다시 되풀이 되지 않고 보장 받는 세상을 ‘새 하늘과 새 땅’으로 노래했습니다.
.
.
결론을 맺겠습니다.
이사야 65:17‐25절과 66:22‐24절의 ‘새 하늘과 새 땅’은 인간세상의 온갖 부조리는 - 특히 여호와만을 의지했던 의인들이 구박 받고, 대신 페르샤 당국과 적당히 타협하던 자들만 주도권을 쥔 세상은 - ‘여호와의 날’에 없어지고, 여호와만은 바라보던 의인의 눈물을 감싸주는 곳이 ‘새 하늘과 새 땅’이라고 했습니다.(계21:4 참고)

현실이 힘들수록, 현실에서 고난 받을수록, 의인이 배척 받는 현실 일수록 여호와의 공의와, 여호와의 긍휼과, 여호와의 통치를 기다리는 자만이 ‘의인’이라는 것을 오늘의 본문은 우리에게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의인들의 믿음을 소유하시기 바랍니다.


보라!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나니 이전 것은 기억되거나 마음에 생각나지 아니할 것이라.(사65장17절)
“For, behold, I create new heavens and a new earth: and the former shall not be remembered, nor come into mind.” (Isaiah 65:17)
...
...

Welcome visitors to My personal homepage,
http://www.mryoum.com/skin_youm_html/eindex.htm/

.

Sunday, April 15, 2007

Father and Son,...human story

- 군인 아버지와 뇌성마비 아들이 함께 만든 휴먼 스토리

- triathlon Luta Garra Forca e mostra que o impossivel é capaz

-This video is the an 58 years American military man with son cerebral paralysis... 5km swimming, 200 km Cycling, 42 km. Atletismo,...human story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