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October 30, 2008

Great Legacy


.

16. “Great Legacy”

16. "위대한 유산"

.
-2001년 7월
-July 2001
.
.

Deuteronomy 26:5-11
5. Then you shall declare before the LORD your God: “My father was a wandering Aramean, and he went down into Egypt with a few people and lived there and became a great nation, powerful and numerous.
6. But the Egyptians mistreated us and made us suffer, putting us to hard labor.
7. Then we cried out to the LORD, the God of our fathers, and the LORD heard our voice and saw our misery, toil and oppression.
8. So the LORD brought us out of Egypt with a mighty hand and an outstretched arm, with great terror and with miraculous signs and wonders.
9. He brought us to this place and gave us this land, a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10. and now I bring the firstfruits of the soil that you, O LORD, have given me.” Place the basket before the LORD your God and bow down before him.
11. And you and the Levites and the aliens among you shall rejoice in all the good things the LORD your God has given to you and your household.

.
.




.
Among TV programs in the mid-1970s way over 30 years from now, there was the program titled ‘Bravo to Long Life’ whose master of ceremonies was the announcer Hwang Inyong. If many persons applied to local broadcasting stations, the program-concerned persons in charge selected 3 senior entries among the preliminary contestants, who were qualified for final competition. The outline of the program is as follows. After each participant’s own turn such as a song or a specialty ended, the final contest-qualified senior then had his or her descendant family members all appear on the stage so the whole family sang together. Because people in the 70s~80s or older appeared on the stage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the program ‘Bravo to Long Life,’ there were quite a few age-advanced descendants who had been settled down socially and economically.
.
A certain old person among them introduced himself to judges in preliminary competition, complacently saying “My birthplace is somewhere deep in the mountains in Hamgyeong Province. To survive, I outcame down to Seoul and made my livelihood as a water-seller, sending all my 3 sons to famous universities.”
.
In the final competition, however, the words of this old person did a complete about-face.
.
In between the preliminary and the final, there was a few days of leisure. While other senior contestants-to-be were practicing their songs to sing in solo and unisons to sing with their descendents, yet this old man were concentrating on his self-introduction practice rather than song.
The final competition day at last, he introduced himself, “Born as a son of self-sustaining descent, I have led my life as a scholar reading solely books during lifetime.”
.
Like his saying at the preliminary, his 3 sons were famous university alumni who rose in the world in each of their working circles to a name-recognizable degree.
.
Yet, these sons reached the following thinking, their face might be lost, if the fact was known through TV to the world that “their father was born as a son of poor descent, broke away from an original home village to the south with everything behind, and subsisted on water-selling for the family livelihood and children.” To save their own face, the 3 sons all played brainwash(?) and pressure(?) upon the old person so they had their father do a complete about-turn concerning father’s background information.
.
Through the Chosen era down in the 36-year colonial ruling times by Japanese Empire, there was the custom that the higher middle-class families making a fair amount of money used their currency to buy water.
.
There were various reasons for this water-buying, such as digging a well was too expensive and too hard-workable. But one reason was, by using their currency to buy some loads of water regularly a day, they could use the chance to show off ‘how financially resourceful their family was,’ ‘in more frequent proportion to their reputation,’ even if they had a well in the house. By this reason, water selling in the capital was a commonly seen job.
.
.
Bukcheong Water-bearer
북청 물장수

. by Kim Donghwan
김 동환
.
Coming quietly over the dream every early in the morning
pouring down a gushing cool water by the bedside,
Bukcheong water-bearer soon goes afar over the beating heart.
새벽마다 고요히 꿈길을 밟고 와서
머리맡에 찬물을 솨아(쏴아) 퍼붓고는
그만 가슴을 디디면서 멀리 사라지는 북청 물장수
.
If the dream wet in water
calls the Bukcheong water-bearer,
he is gone again
with a squeaking buckets with no trace behind.
물에 젖은 꿈이
북청 물장수를 부르면
그는 삐걱삐걱 소리를 치며
온 자취도 없이 다시 사라져 버린다.
.
Every early in the morning,
How awaiting the Bukcheong water-bearer I am!
날마다 아침마다 기다려지는
북청 물장수
.
.
The more painfully working manual job it is to remain alive, the more shameful it is, this idea is one of the still so far deeply-ingrained Korean emotions. Water-bearer too was regarded as one of such jobs in those times. The waves of civilization affected even the back country in Hwamgyeong Province. So the water-bearers, who had to be under a water-carrying yoke for the sake of children education even though they themselves are under pains and contempt since born in poor descent and grown in lowest education, yet didn’t mind to bear water loads on the shoulders with not a day off in rain or snow even early morning on coldest winter day, which was the life of water-bearers (Bukcheong is a location name in South Hamgyeong Province).
.
With no education and no property of his own down in Seoul a strange land far away from home and in all the hopes and anticipation, “I will send each and every son of mine to university by all means even doing a water-bearer,” this old person, a used-to-be water-bearer on the shoulders, has overcome lowest class ladder’s toilsome hardships of water-bearing through his own industry and efforts.
.
By virtue of that, he was able to have all 3 sons go up to university. Now, under the oppression of the sons, disappeared the old man’s glory, who had been complacent whenever he saw his sons grown up to be nice-looking persons. Growing up, the sons looked upon it as natural that one should be born as a son of noble descent and read books growing under parents’ care and under the father who led a decent scholastic life in the middle of nothing wanting in clothes to wear, food to eat and everything. So by converting the sons’ self-introduction too into the saying, “We entered famous universities as hard as we studied, and rose in the society as hard as we worked,” they replaced their old father’s original self-sacrificing toilsome life by mere a meaningless easy-going life.
.
In this old man’s inverted words, it is hard to find the settlement of such words as devotion, sacrifice, diligence, care-taking and glory.
In their places, there rather occupies such words as family origin, social rank, face-saving and so on.
.
For whom is the reputation, for whom is the social rank, and for whom is the care-taking position?
.
If only the sons had given information to the world as it is about their father’s sacrifice and devotion for his sons instead of their selfish face-saving, the old person’s glory of self-sacrifice would have been a spiritual legacy inherited generation after generation.
Under the sons’ face-saving, however, the old person’s sublime spirit came to an end.
.
By embellishing the history of our past like this old man’s sons did, there are times we try to save our faces. In recent days, papers and TV media have often dealt with the deepening antipathy against between Korea and Japan. There are some occasions where the Japanese themselves look down on Korea and China in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that ‘the people of their own are distinctively superior to other nations and countries.’
.
With these senses of superiority and lordliness, the authorities continually try to instill national superiority in the people by unscrupulously modifying and misrepresenting even the historic facts in schoolbook that their emotionally most sensitive adolescents will learn. The authorities insist that the ancient culture of Japan was more original and excellent than Korea and China’s so it had its influence reach from the Japanese Islands onto the Korean Peninsula.
.
Dear listeners, please look at the map of the world.
.
Upon geographic features of China, Korea and Japan even in the eyes of elementary schoolchild, the advanced one in China among the 4 Great Ancient Civilizations moved across Korea onto Japan. The Japan authorities’ contention that ‘their self-professed prior-developed culture in the Japanese Archipelago on the Pacific coast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to original onto the main continent’ is near to an egocentric attachment for concealing their cultural inferiority as well as it is ludicrous. What the Japanese national sentiment is hard to accept of is but the fact that they received cultural transfer from a lower-developed neighbor country in their self thinking.
.
Towards this sort of Japan, we Korean people are indignant and call names.
.
To think in self-possessed calm reflection and mental balance, our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too has arisen from one of the Great Civilizations. When we describe the history of our country, we use such modifiers as ‘a single people’ or ‘a single people built upon the grounds of agricultural culture.’ But we should know that this sort of words as well is something that we Koreans have embellished the past history with.
.
Hwangha Civilization has blossomed since far back in B.C. times. The Korean Peninsula was geograph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Hwangha Civilization. As one great ancient civilization in the Hwangha basin blossomed out and some tribes developed into a nation, afterwards turning into a strong power-centralized system, the people of lost vested rights or -- whether for any reason -- crowds of runaways gathered together. They made their way onto GoJoseon the First Tribal State or afterwards Goguryeo up at the north, and onto Baekje (the region of Mahan the federation of small tribes) down at the south. In so doing they competed for lots of land with the existing earlier settlers in the Korean Peninsula, or coexisted together peacefully, so they became early ancestors of the modern Koreans.
.
It is necessary that some parts should be added, some parts distant from the generally-accepted paraphrases of our nation identity, like “Posterity of Dangun the Founding Father of the Korean Nation; 5000 Year History; A Unitary Nation Developed from upon Agricultural Culture.”
.
“Owing to belonging to a frontier of the developed Chinese culture, the Korean Peninsula was influenced by settler people such as the political runaways and victims who had come in crowds from China,” -- are you sure we Korean people can proudly talk to our descendents as concerns this fact?
.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looking into Korean ancestors’ genealogical record, one may find the ancestors are connected backwards to even the Hun tribes at the frontiers of Mongolian Plateau and the Altai Mountains. One of their common traits is the nomadic style of custom in their living. Nomadic tribes are very lagging behind in accepting civilization (see Genesis 46:3,4). If in TV you had ever watched the informatory scenes about the nomadic tribes somewhere in Central Asia and Africa, you would have found they have some life styles in which they still depend their mobility upon horses, oxen, sheep and the like, and still live in almost the same tents as those 1000 thousand years ago in this fast-progressing world. You might sometimes have felt how curious-looking theirs are, but might also have felt how stuffy-looking theirs are, those nomadic habits of living far behind from the civilization circles.
.
Looking into cultural origins, one may find the facts that ancient Kazakhs (the Turkish tribes) living in the Kazakhstan region of now were connected to Mongols, that the Mongols influenced ancient Korea enormously, and that the ancient Koreans in turn moved onto Japan, according to genealogical records backwards.
.
The reason why us Korean people are presently so indignant with is for the Japanese people’s arrogant moral code of conduct. To think in different shoes, the Korean too are thinking and acting similar to what the Japanese do. We wish that the culture that had influenced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the Han race’ that had bloomed a bright and grand ancient culture in the Hwangha basin. But it is rather the culture of the Kazakhstan or Mongolian tribes who have even no water to wash face, let alone bathe, still living in the tents, still riding on horses up to this day, so that we are their descendents. This fact of real history is not easy at all for us to accept.
.
This kind of example is seen also in some white people who want to think as if white Americans were always superior and righter than wrong, while black Americans were always inferior and wronger than right,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all the same Americans. In like manner, there are some Koreans who want to think as if Koreans had been influenced by the culture of the world-renowned Hwangha Civilization rather than that of underdeveloped nomads in the plains, once at least influenced they have been. This might be in some Koreans’ unconscious thinking (the worship of the powerful.)
.
Knowingly and unknowingly, we have the prejudice of ‘the worship of the powerful.’ If the civilization and culture which we think were lower and inferior and crude are actually the ones which greatly influenced our nation genealogically, then, are you sure you would easily accept and tell such historical fact down to the posterity?
.
People have the disposition to beautify the past.
.
Any country or nation has basically their myth of national birth or their epic of national heroes. Embellished than the real fact, these myths or heroic tales of national birth have been transmitted down to the descendents. The Roman myth of birth has a wolf having raised Romulus and Remus, a set of twins who were deserted in the mountains. Eating milk from the wolf in their baby days, the brothers were so courageous they later subjugated the Tiber riverside tribes, setting up the foundation of Rome.
.
The ‘courageousness’ which the Romans boast of means ‘aggressiveness’ from a different view.
However, they emphasize the word courageousness instead of aggressiveness. This way, people tend to beautify their self-related past, handing this same embellished history down to their next generation.
.
Speaking of one thing worth learning from Israel nation, they had often times told their next generation the fact itself rather than an embellished version of their past history. In Exodus Chapter 20 and Deuteronomy Chapter 5, the Ten Commandments, whose introduction says, “I am the LORD your God, who brought you out of Egypt, out of the land of slavery,” the Bible delivers God’s message of salvation and commandments, which is possible only by confessing ‘their past history of slavery.’
.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Hebrews especially the Bible writers, instead of objectifying or objectively reporting a certain historical events, they rather give religious meaning to whether the texts of their having written are based upon historical facts (Confession of Faith), and they make their way creating new facts depending upon them (View of History).
.
The history is only ‘God’s history of salvation,’ which is the historical view of the Bible writers.
.
Today’s text Deuteronomy 26:5~9 starts from the confession that ‘the Israelite ancestry was drifters without possessions and wanderers without root.’ It refers to it that their ancestors were a few Aramaics who originally drifted about; they suffered any indescribable insult and ill-treatment when they went down to Egypt looking for edibles in the plains.
.
They teach ‘God-wrought history of salvation’ to their descendents by repeating every year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ir confessing, “Then we cried out to the LORD, the God of our fathers, and the LORD heard our voice and saw our misery, toil and oppression. So the LORD brought us out of Egypt with a mighty hand and an outstretched arm, with great terror and with miraculous signs and wonders. He brought us to this place and gave us this land, a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
Deuteronomy 26:1~11 and Joshua 24:1~13 were the religious clauses which were annually repeated and recited in the Israelite general assembly.
.
Inside these religious clauses is a short and brief outline of Israelite long history developing into a nation. Recorded in here is a historical account of Israel shaping up for a long time into a nation: the patriarchal age in which Israelite ancestors leaving from Ur of the Chaldea and wondering about with flocks of sheep over the whole Middle East area, the period of slavery in Egypt, the period of vagrancy across over the wilderness, and at length Israel entering the land of Canaan where the 12 tribes being assigned each land to stand on and settle down.
.
This religious consciousness is lying underneath Israel’s thinking about land.
(see 1 Kings 21:1~3 Naboth’s Vineyard and Deuteronomy 19:14)
.
The characteristic of this religious confession lies in the view that Israel’s experiences in the history are solely God’s activity. Instead of thinking the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Exodus from Egypt was a sort of revolutionary determination and politically heroic revolution by Israelite descendents, they rather viewed it as ‘the salvation event by Yahweh God’ who led Israel out of Egypt through Yahweh God’s salvation providence, that is, with a mighty hand, an outstretched arm and miraculous signs and wonders.
Instead of thinking the passage through over the wilderness the desert of death was by virtue of their extraordinary patience and sturdy endurance, they rather viewed it as solely ‘God’s event’ performed by God in which Yahweh God having completely led them, led them and guided them with the miraculous signs and wonders of manna and quail and a pillar of a cloud and a pillar of fire.
.
They view their Canaan occupation too as the land which they finally gained through God’s leadership and guidance as ‘a battler of the war’ rather than through man’s efforts (compare between Judges, Deuteronomy 7:17~23 and Exodus 23:27~30). As it were, the Exodus is God’s event; the passage through the wilderness is God’s event; and the occupation of Canaan too is one of God’s events.
.
In past history, so many invaders and so many conquerors considered the victories in their wars to be their own. Jews’ historical characteristic is, however, the Bible writers consider even war to be God’s action.
.
Further, they viewed their history in the ‘religious eyes’ (religious confession) that this world secular history too was for the sake of Yahweh God solely bestowing salvation upon Israel (view of history).
.
This belief and faith about history became a fundamental source of power that brought a semi-nomadic herds of people wondering about without power and root into having survived as a nation which receives attention and concern from the world nowadays.
.
.
Here now is the conclusion.
.
Deuteronomy 26:5~11 has the record of “how they led their lives on and how they achieved rebuilding” in the vagrant history of Israel ancestry, that is, in so many occasions of sufferings such as being chased after, being pushed, being robbed and being displaced.
.
There are many times when the Bible records how awkward, unattractive, and full of shames and sufferings their Israelite ancestors’ history actually was. Not enough of their recording as it was, they went even to the extent of holding the ceremony in which they annually recited the account of their past history full of shames and sufferings to their descendents.
.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ir descendents through this ceremony of religious confession is not that they would prerogatively be given blessing in their lives because they were those who received God’s promise and the herd chosen by God’s calling, the purpose thereof is rather in order to teach their progenies to accomplish God’s promise and to receive and endure many historical trials and hardships coming about due to participation in the work.
.
Another teaching is that ‘the subject of the history is God’ and ‘God’s ultimate objective in the history is salvation.’
.
The text Deuteronomy 26:5~9 teaches even us living at the present that when we see things in the eyes of faith, we can have hope, even though ours are the one filled with shames and sufferings (view of history).
.
‘History is the stage where God works’ and ‘God will bestow salvation upon his people’ whatever hardships they are in; these ultimate hopes were the ‘great legacy’ which Israelite ancestors handed down to their descendent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
.
.
.
“The LORD your God is with you,
he is mighty to save.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he will quiet you with his love,
he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Zephaniah 3:17)

.


위대한 유산



16. "위대한 유산"

16. “Great Legacy”
-2001년 7월
-July 2001
.
.
.
신명기 26장 5-11절
Deuteronomy 26:5-11
5 너는 또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아뢰기를 내 조상은 유리하는 아람 사람으로서 소수의 사람을 거느리고 애굽에 내려가서 거기 우거하여 필경은 거기서 크고 강하고 번성한 민족이 되었더니 6 애굽 사람이 우리를 학대하며 우리를 괴롭게 하며 우리에게 중역을 시키므로 7 우리가 우리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께 부르짖었더니 여호와께서 우리 음성을 들으시고 우리의 고통과 신고와 압제를 하감하시고 8 여호와께서 강한 손과 편 팔과 큰 위엄과 이적과 기사로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시고 9 이곳으로 인도하사 이 땅 곧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주셨나이다 10 여호와여 이제 내가 주께서 내게 주신 토지소산의 맏물을 가져왔나이다 하고 너는 그것을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두고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경배할 것이며 11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와 네 집에 주신 모든 복을 인하여 너는 레위인과 너의 중에 우거하는 객과 함께 즐거워할찌니라

.


.

지금으로부터 30년도 훨씬 지난 1970년대 중반의 TV프로 중에 황인용 아나운서가 진행하던 ‘장수 만세’라는 프로가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방송국에 신청을 하면, 프로그램담당자들은 예심을 거쳐서 본선에 진출할 3명의 노인 분들을 뽑았습니다. 본선에 진출한 노인 분들은 본인이 부를 노래, 혹은 기타의 장기자랑을 하고 본인의 순서가 끝나면 자손들 모두가 출연해서 노인분과 함께 노래를 하던 프로였습니다. ‘장수 만세’의 특성상 70-80살이 넘는 노인 분들이 출연하다 보니 자손들 중에는 나이가 지긋이 들어서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자리를 잡은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
어떤 노인분이 예심을 볼 때는 심사위원들에게 “고향은 함경도 산골인데, 먹고 살기위해 서울로 내려와 물장수를 하면서 아들 3형제 모두를 명문대학까지 보냈다”고 자신을 흐뭇해하며 자기소개를 했습니다.
.
그런데 본선에서는 이 노인분의 말이 180도 바꿨습니다.
.
예선이 끝나고 본선까지는 몇 일간의 여유가 있었습니다. 본선에 함께 출연할 다른 노인 분들은 본인이 부를 노래를 연습하거나 자손들과 함께 부를 합창곡을 연습하는데, 이 노인분만은 노래보다는 자기소개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연습했습니다.
그리고서 본선 날에는 “먹고 살 만 한 양반의 자식으로 태어나 평생을 책만 읽은 선비의 삶을 살았다”고 자기소개를 했습니다.
.
노인분의 아들 3형제는 예선에서 노인분의 말대로 명문대학출신으로 사회 각 분야에서 어느 정도 이름을 내밀 정도로 성공한 사람들이었습니다.
.
그런데 이 아들들이 생각하기에 “자기들의 아버지가 가난한 집의 자식으로 태어나 고향을 등지고 혈혈단신 남쪽으로 내려와 자식들과 먹고 살기 위해 물장수 했다”는 것이 TV를 통해서 세상에 알려지면 자기들 체면이 떨어진다는 것이었습니다. 3형제 모두가 자신들의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노인 분한테 세뇌와(?) 압력(?)을 가해 아버지의 과거를 180∘바꿔 놓았던 것입니다.
.
조선시대를 거쳐 일본의 36년 식민지통치당시 서울의 잘사는 명문양반집이나, 돈 많은 중인들의 집안에서는 물을 사서 쓰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
물을 사서 쓰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으나, 그 당시는 우물 파는 것이 너무 비싸고 힘든 것도 있었지만, '내놓으라 하는 집안 일수록' 집안에 우물이 있어도 하루 몇 짐의 물을 규칙적으로 사서 먹음으로써 ‘그 집안의 재력’을 남한테 보일 수 있는 기회로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연유로 서울 장안에서 물장수는 흔히 볼 수 있던 직업이었습니다.
.
.
북청 물장수
김 동환
.
.
새벽마다 고요히 꿈길을 밟고 와서
머리맡에 찬물을 솨아(쏴아) 퍼붓고는
그만 가슴을 디디면서 멀리 사라지는 북청 물장수
.
물에 젖은 꿈이
북청 물장수를 부르면
그는 삐걱삐걱 소리를 치며
온 자취도 없이 다시 사라져 버린다.
.
날마다 아침마다 기다려지는
북청 물장수
.
.
먹고살기 위해 맨 몸으로 고생하는 직업일수록 자랑할 것이 못 된다는 생각이 지금까지도 면면히 이어져 오는 게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 중의 하나입니다. 물장수라는 직업도 당시에는 그런 직업 중에 한가지로 여겼습니다.
개화의 물결이 함경도 두메산골까지 영향을 주어 자신은 가난한 집에 태어나 못 배운 탓에 고생하며 멸시를 받지만, 자녀들의 교육을 위해 물지게를 져야했던 물장수들은 연중무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아무리 추운 겨울의 이른 새벽이라도 물지게 지기를 꺼려하지 않았던 것이 물장수들의 삶이었습니다(북청은 함경남도에 있는 지명임).
.
머나먼 타향 서울까지 내려와서 배운 것 없고, 가진 것 없던 형편에 “물장수를 해서라도 아들들만은 대학까지 보내겠다”는 희망과 기대로 물지게를 졌던 이 노인분은 자신의 근면성과 노력으로 최하층의 고달픈 물장수의 고생을 이겨냈습니다.
.
그 대가로 아들 3형제 모두를 대학까지 보냈습니다. 이제는 자식들이 장성해서 잘 된 것을 볼 때마다 흐뭇해하던 노인분의 영광은 아들들의 압력 앞에서 사라졌습니다. 양반의 자손으로 태어나 입을 것, 먹을 것,...모든 것이 부족함이 없는 가운데서 선비의 고고한 삶을 사는 아버님과 그러한 부모 밑에서 책 읽는 것을 자연스럽게 보고 자란 아들들 역시 “자기들이 공부한 만큼 명문대에 입학했고, 사회에 나와서는 노력한 만큼 출세했다”는 것으로 말을 바꿈으로써 노인분의 자기희생적인 고달픈 일생을 지극히 안온한 일생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
이 노인분의 뒤바뀐 말속에서는 자식에 대한 헌신, 희생, 근면, 노력, 보살핌, 영광이란 말이 자리 잡기 힘듭니다.
그 대신에 출신, 지위, 체면 등이 다가옵니다.
.
누구를 위한 체면, 누구를 위한 지위, 보살핌의 자리 바뀜입니까?
.
만약에 아들들이 자신의 체면보다도 노인분의 자식에 대한 헌신과 희생을 사실그대로 세상에 알렸더라면, 노인분의 영광스러운 자기희생은 자손대대로 이어질 유산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들들의 체면 앞에서 노인분의 숭고한 희생정신은 끝이 나고 말았습니다.
.
이 노인분의 아들들처럼 우리는 과거의 역사를 미화시킴으로써 자신의 체면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요즈음, 신문이나 TV에서 한•일간의 감정 악화를 자주 다룹니다. 일본인들 스스로가 ‘자기들은 다른 민족이나, 나라들에 비해서 월등하게 뛰어나다’는 국민의식 속에서 한국과 중국을 얕잡아 볼 때가 많습니다.
.
이런 우월감과 교만함을 가지고 정서적으로 가장 민감한 청소년들이 배울 교과서에 역사적인 사실까지도 서슴없이 수정하거나 왜곡시켜서까지 국민적 우월감을 고취시키려 합니다. 일본의 고대문화는 한국과 중국에 비해 독창적이고 우수해서 일본 열도에서 한반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합니다.
.
여러분 세계지도를 보십시오!
.
초등학교 학생이 보더라도 중국, 한국, 일본의 지리적 특성상 세계4대 문명의 하나인 중국의 선진 문명이 한반도를 통해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었습니다. 태평양 연안에 속한 일본열도에서 ‘자기들의 발달한 문화가 대륙으로 거꾸로 거슬러 올라갔다’는 일본의 주장은 터무니없다기보다는 자신의 문화적 열등감을 감추기 위한 아집에 가깝습니다. 자기들보다 뒤쳐졌다고 생각하는 이웃나라에서 문화를 전수 받았다는 사실은 일본인들이 인정하기 힘든 국민감정입니다.
.
이런 일본을 향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분개하고 욕을 합니다.
.
그러나 냉정히 생각해 보면 한반도의 문화도 이와 같은 경로를 따라 발달해 왔습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기술할 때 '단일민족' 또는 '농경문화의 터 위에 이루어진 단일민족' 라는 수식어가 붙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신의 과거를 미화시킨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
황하문명은 기원전 오래 전부터 꽃을 피웠습니다. 한반도는 지리상 황하문명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황하유역에서 고대문명을 꽃 피우고, 부족이 성장해서 국가로 형성되고, 후에 강력한 중앙 통치 체제로 바뀌자, 기득권을 획득하지 못한 사람들이나 ―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몰라도 ― 도망친 무리들이 뭉쳐서 위로는 고조선이나 후에는 고구려, 남으로는 지금의 백제(마한지방)로 영입해 와서 한반도에 자리 잡고 살던 사람들과 자리다툼을 하거나 평화로이 흡수해서 오늘날 대한민국의 선조들이 되었습니다.
.
우리민족의 정체성으로 당연히 받아들이던 “단군의 후예, 5천년의 역사, 농경문화 속에 정착한 단일민족”과는 거리가 먼 부문들이 첨가 되어야만 하는 것입니다.
.
“발달한 중국 문화의 변두리에 속한 덕에 중국의 정치적 도망자나 피해자 등이 뭉쳐서 한반도에 몰려와 자리를 잡고 영향을 주었다.”- 이 사실을 대한민국의 국민들은 후손들에게 자랑스럽게 말해 줄 수 있습니까?
.
더구나 한반도 선조들의 계보를 찾다 보면 몽골고원이나 알타이 산맥부근의 흉노족과도 연결시키게 됩니다. 이들의 특징은 유목민적인 생활관습에 있습니다. 유목민은 문명을 받아들이는데 굉장히 뒤쳐집니다.(창 46:3, 4참고) 여러분이 TV에서 중앙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유목민들을 소개하는 장면들을 보면 아직도 말, 소, 양등의 가축에 의존하는 기동력이나 빠르게 변해가는 세상 속에서 1000년 전과 비교해도 조금도 바뀐 것이 없는 천막에서의 생활방식 등이 때로는 신기롭게 보일 때도 있지만, 문명세계와는 너무 뒤쳐진 유목민의 생활 습관이 답답하게 느껴질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
인종과 문화의 맥을 찾다 보면 지금의 카자흐스탄 지방의 카작인들이(투르크족) 몽고와 연결됐고, 몽고인들은 한반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고, 한반도에서 다시금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계보가 형성 됩니다.
.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금 분노하는 것은 일본인들의 오만한 행동인데 입장 바꿔 생각하면 한국인들도 일본인들과 같은 생각과 행동을 한다는 것입니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문화가 황하 유역에서 찬란한 고대 문화를 꽃피웠던 '한족'이라면 몰라도 아직도 말 타고, 천막생활을 하면서 목욕을 고사하고 세수 할 물마저 없는 초원의 유목민들인 카작인이나 몽골인의 후예인 것을 인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
이런 예는 같은 미국인들인데도 백인이라면 나쁜 선입감보다는 오히려 호감 을 갖는 쪽으로 생각하고, 흑인이면 무조건 열등하거나 나쁜 쪽으로 생각하는 것이나, 이왕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면 초원의 유목민들의 뒤처진 문화보다는 세계가 인정하는 황화 문명을 받아들인 것으로 생각하고 싶은 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무의식적인 생각일 것입니다(사대주의).
.
우리는 알게 모르게 '사대주의' 선입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보다 못하고, 열등하고, 조잡하게 생각되던 문명과 문화가 우리민족한테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인종적인계보라면 여러분은 쉽게 받아들이고, 또 이런 역사적 사실을 후손들한테 말해 줄 수 있겠습니까?
.
사람들은 과거를 미화시키려는 기질이 있습니다.
.
어느 나라, 어느 민족에게도 건국신화나 영웅들의 이야기는 있습니다. 이들 건국신화나 영웅담은 사실보다도 미화시킨 이야기를 후손들에게 물려줘 왔습니다. 로마의 건국신화에는 산속에 버려진-로물루스(Romulus)와 레무스(Remus)-쌍둥이 형제를 늑대가 키웠다고 합니다. 늑대의 젖을 먹고 자란 형제는 용감성이 뛰어나 후에 티베르 강변의 부족들을 진압하고 로마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
로마인이 자랑하는 ‘용맹성’은, 다른 시야로 보면 ‘침략성’입니다.
하지만 로마인들은 침략성이라는 단어 대신 용맹성을 강조합니다. 이렇게 사람들은 자신들과 관련된 과거는 미화시키고, 또 미화시킨 역사를 후손에게 물려줍니다.
.
우리가 이스라엘 민족에게 배울 것 중 하나가 선조의 과거를 미화시키는 것이 아니고, 사실 그대로를 전해 줄 때가 많았다는 점입니다. 출애굽기 20장과 신명기 5장의 십계명의 서문에는(서두)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에서 ‘종 되었던 과거사’를 인정함으로써, 비로소 성립할 수 있는 하나님의 구원과 명령을 시달합니다.
.
히브리인들, 특히 성경기자들은 어떤 역사적인 사건들을 객관화 하거나 그것을 객관적으로 보도하는 것보다, 그들이 기록한 본문들이 역사적 사실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에 신앙적 의미를 부여하고(신앙고백), 그것을 통하여 새로운 사실을 창조해 나가는데 그 특징이 있습니다(역사관).
.
오직 역사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 뿐이라는 것이 성경 기자들의 역사관입니다.
.
오늘의 본문 신명기 26장 5-9절은 ‘이스라엘의 조상들은 가진 것 없는 떠돌이 무리였으며, 뿌리 없는 방랑객들이었음’을 고백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그들의 선조들은 본래 떠돌아다니는 소수의 아람 사람이었는데, 초원의 먹이를 찾아서 애굽땅으로 내려갔다가 말할 수 없는 곤욕과 학대를 당하게 된 것을 말합니다.
.
그리고 그들은 “그 고난의 현장 한 가운데서 야훼를 향해서 부르짖었다. 그랬더니 야훼 하나님께서 그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강한 손과/ 편 팔과/ 큰 위엄과/ 이적과/ 기사로써 그들을 애굽으로부터 이끌어내시고, 인도하여,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을 주셨다” 는 것을 고백하는 역사의식을 해마다 되풀이해서 하나님에 의해 이루어진 ‘구원의 역사’를 후손들에게 가르쳐주고 있는 것입니다.
.
신명기 26장 1‐11절, 여호수아 24장 1-13절은 매년 되풀이 되어 이스라엘 총회에서 낭송되던 신조였습니다.
.
이 신조들 속에는 긴 이스라엘 민족 형성사가 아주 간략하고 짧게 요약되어 있습니다. 여기는 이스라엘 선조들이 갈대아우르를 떠나서 양떼를 몰고 중동지역을 배회하던 족장시절부터, 그들이 애굽에서 종살이하던 역사, 광야를 유랑했던 역사, 그리고 마침내는 가나인 땅에 들어가서 열두 지파가 각각 자기들의 설(살) 땅을 분배받고 정주하게 된 기나긴 민족형성사가 기록되어있습니다.
.
이러한 신앙의식이 이스라엘의 땅에 대한 생각의 근거를 이루고 있습니다.
(열왕21:1-3에 나봇의 포도원 사건, 신명기 19:14 참고)
.
이 신앙고백의 특징은 이스라엘이 역사 안에서 겪은 경험은 오직 하나님의 구원활동이라고 보는데 있습니다. 출애굽의 역사적인 경험도 이스라엘 자손들의 혁명적인 결단력이나 영웅적인 정치적 혁명의 일환으로 보지 않고, 이것은 야훼하나님의 구원 행위, 즉 강한 손과 편 팔과 이적과 기사로써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이끌어내신 바로 ‘야훼 하나님의 구원사건’이라고 봅니다.
또 죽음의 사막인 광야를 통과한 것도 그들의 탁월한 인내심과 강한 지구력의 힘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들을 전적으로 이끌어 주신 야훼하나님이 만나와 메추라기와 구름기둥과 불기둥의 이적으로 이끄시고 인도하신, 즉 하나님에 의해서 이루어진 ‘하나님의 사건’으로만 보고 있습니다.
.
가나안 점령도 인간의 노력이 아닌 '전쟁의 용사'로서 하나님이 주도하고 이끄셔서 비로소 얻은 땅이라고 봅니다(사사기 1장과 신명기7:17-23, 출애굽기 23:27-30 비교해서 참고) 말하자면 출애굽도 하나님의 사건이요, 광야 통과도 하나님의 사건이요, 가나안 점령도 하나님의 사건이라는 것입니다.
.
과거 역사상 허다한 침략자들과 전쟁의 승리자들은 전쟁의 승리를 자신의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성경의 기자들은 전쟁까지도 하나님의 행동으로 생각한다는데 유대인의 역사적 특징이 있습니다.
.
더 나아가 오히려 이러한 세속의 역사도 궁극적으로는 야훼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오직 구원을 베풀기 위한 것이라는(신앙고백) ‘신앙의 눈‘으로 역사를 보았습니다(역사관).
.
바로 이러한 역사에 대한 믿음과 신앙이 힘없고. 뿌리 없이 유랑하는 반유목민의 무리로 하여금 오늘날 세계의 이목과 관심을 일으키는 국가로서 끈질기게 살아남게 한 그 근원적인 힘이 되었습니다.
.
.
결론을 맺겠습니다.
.
신명기 26장 5-11절에는 이스라엘 조상의 유랑의 역사. 즉 쫒기고, 밀리며, 빼앗기고, 축출당하며, 수 없이 많은 수모를 겪으면서도 “어떻게 그들이 삶을 살아갔고, 새롭게 재건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기록이 담겨 있습니다.
.
성경은 이스라엘 선조들의 역사를 실제로 볼품없고, 매력 없으며, 수치와 수모로 가득 찬 사실 그대로 기록할 때가 많습니다. 사실 그대로를 기록한 것으로도 모자라서 수치와 수모에 찬 역사를 매년 되풀이해 후손들에게 들려주는 의식을 거행했습니다.
.
이 신앙고백적인 의식을 통해서 후손들에게 확인시키는 것은, 신의 약속을 받은 자들이라고 해서, 또는 신의 부르심을 받은 선택된 무리라고 해서 특별히 축복을 받는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의 약속을 성취시키는 일, 그 일의 참여로 인하여 오는 역사적 고난들을 받아들이고 감내할 것을 가르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
또 한 가지는 ‘역사의 주체는 하나님’이시라는 것과 ‘하나님의 역사의 궁극적 목표는 구원’이라는 것은 가르쳐 줍니다.
.
신명기 26장5-9절의 본문은 수치와 고난으로 얼룩진 역사라도, 신앙의 눈으로 볼 때는 희망을 가질 수 있음을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까지도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역사의식).

‘역사는 하나님의 활동 무대’이며, 그의 백성들이 어떠한 고난에 허덕인다 하더라도 ‘하나님이 구원을 베푸실 것’이라는 궁극적인희망이 이스라엘 선조들이 후손들에게 대대로 물려준 ‘위대한 유산’이었습니다.
.
.
.
.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너의 가운데에 계시니
그는 구원을 베푸실 전능자이시라.
그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
(스바냐 3장 17절)
“The LORD your God is with you,
he is mighty to save.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he will quiet you with his love,
he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Zephaniah 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