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May 30, 2007

My Joy is In You




11. ‘My Joy is In You’

11. "나의 기쁨이 너에게 있다."



-Commemorating the Independence Day - August 2001
- 2001년 8월 – 광복절을 기념하며....


- ‘Hephzibah’ and ‘Beulah’ in Isaiah 62:1~5
- Meanings of ‘Hephzibah’ and ‘Beulah’ in Isaiah 62




Isaiah 62: 1~5
1. For Zion's sake I will not keep silent, for Jerusalem's sake I will not remain quiet, till her righteousness shines out like the dawn, her salvation like a blazing torch.
2. The nations will see your righteousness, and all kings your glory; you will be called by a new name that the mouth of the LORD will bestow.
3. You will be a crown of splendor in the LORD's hand, a royal diadem in the hand of your God.
4. No longer will they call you Deserted, or name your land Desolate. But you will be called Hephzibah, and your land Beulah ; for the LORD will take delight in you, and your land will be married.
5. As a young man marries a maiden, so will your sons marry you; as a bridegroom rejoices over his bride, so will your God rejoice over you.








The Middle East nicknamed ‘the Powder Magazine of the World’ is the area that raises attentions and tensions of the concerned countries and all the other parts of the world. Even the countrie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local wars in the Middle East have been reluctantly interested in the situations in the Middle East, because of ‘importing crude oil and the relevant repercussions in the world economy.’ The most frequently conflictive nations in the Middle East are Israel and the Palestine National Authority(P.N.A.). Israel and the P.N.A. both insist that the West Bank of Jordan River is their own land transmitted from their ancestors.

The arguments are both not wrong.

The present territory of the Palestine Authority used to be the ‘land of Israel,’ since entry through the Exodus and wilderness into Canaan, through Judges’ period, through the united Kingdom and divided Kingdoms, through the years as prisoners in Babylon, through reestablishment of Jewish religion by homecoming citizens, through a colony of Hellas by Alexander and his descendants, up until the colony of Rom.

After 70 A.D., Jerusalem Temple and castle walls were trampled by Titus the Roman general commander. Israelis were once again dispersed in all directions within the Sovereignty of Rom. In long time and tide, the places Israelis left have been occupied by folks after folks. This is the Palestine National Authority.

In 1945, Israel gathered to Jerusalem ‘under the banner of Zionism.’ Under the military reign of the Allied Forces 1948, the nation of the present Israel was founded in about 2500 years. At last in about 2500 years, they flagged their own national flag of Israel on top of the history of hardships and humiliations.

It is after 1948 that Israel of the present had its birth. The star in the middle of their national flag on the surface of white is called ‘the Star of David,’ the symbolism of which is to revive the long-lost glory of David the King.
.
Under the project of actualizing the glory of David, when the present Israel’s nationality was attained and its territory confirmed around 1948, there were residents who had lived for about 2000 years. Not being able to follow only the command “Destroy any breathing” as in books of Deuteronomy and Joshua is the ethics of war and the ethics of international society in the contemporary times as well as modern. Although Israel put up the Star-of-David flag in their dreaming the glory of David or a new Israel at 1948, there was still an unsettled issue of ownership of the land between them and Palestine folks already occupying, when they returned to their motherland from all over the world.

Folks in the Palestine Authority as well have their say.
If any period or any country loses their sovereignty and its people disperse in all directions, other folks naturally get to occupy the land. The people as well have settled and inhabited the plac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nearly 2000 years.

Yet abruptly on a certain day a certain people come and say to drive them out, “The land is ours who are the descendants of old Israel. So you go another place.” Not 20 years or so, they have lived nearly 2000 years.… Who is the owner of the land?

Reading the books of Genesis, Exodus, Leviticus, Numbers, Deuteronomy, Joshua, Judges, two of the most frequent words are descendants and land.
.
Genesis 12:1 Go to the land I will show you.
Genesis 50:24 God will surely take you up out of this land to the land he promised on oath to Abraham, Isaac and Jacob.
Leviticus 20:24 I will give it to you as an inheritance, a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Exodus 23:30 Until you have increased enough to take possession of the land.
Deuteronomy 19:14 Do not move your neighbor's boundary stone set up by your predecessors in the inheritance you receive in the land the LORD your God is giving you to possess.
Deuteronomy 28:11 in the land he swore to your forefathers to give you.
Joshua 1:4 Your territory will extend from the wilderness and this Lebanon ~.
...

Other than this, there are promises about the land on many parts of the Bible.
.
For people in Israel and the Palestine National Authority, land is not the concept of that as investment value and property. It is ‘the concept of land’ as ‘the foundation of life and the root’ that they have to hand down to their offspring. In modern world, because of wars decreased, the concepts of land 100 or 200 years ago has much disappeared.

Our country as well has been not much different.
.
In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Colonial Period by Japa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he subsequent Division into South and North Koreas, and the Korean War, numerous youths or patriots on the land burned themselves to only keep their own land, devoting all of themselves and leaving all behind. Not only for life of their own but also for the foundation of their ancestors and descendants, they have kept this land where we are standing, dedicating their fields, patches, forests and even their lives. What would have been the results? It might have been a medal from the nation. It might have been just three name characters on the tombstone. Or, much more folks might have been dead under any nameless hills, fields, or any locations in the Southeast Asia.
.
Yet, many of the descendants of these have suffered hardships of life.
.
When they gave away all their wealth they had and even burned their bodies to keep this very motherland safe, it was impossible for them to be faithful to both their family and their country. The motherland for which they so burned themselves finally saw liberation and the war stopped. Yet, what met them in reality was ‘problems of life.’
.
It is evident that they don’t have any left because they give theirs all away.
.
To those, not only their sacrifice buried behind the glory of their country but also their ‘descendants’ hardships’ were their shares returned, but when they die, they might not have even thought that amount. Men who were quick adapting to the reality flattered Japa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gratiated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under the same period, and after the year 1948 had connections with members of the Liberal Party that was the main force of power. On account of this, not theirs taken away, rather they increased their wealth. On account of having the sagacious(?) ancestors, the descendants live comfortably afterwards, which is often the case.
.
.
What on earth is the land?
One group is, not enough that they sacrificed themselves, they even had to leave their children, struggling so hard to keep this land safe. Another group is, they just looked the other way towards the world around as if it were none of their own. Still another is, swiftly finding their way around for their interests whenever their existent vested interests changed,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accumulation of capital so even their descendants might live comfortably generation after generation.
.
They are each different courses of life according to whether they looked upon the land a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or whether they look upon it as the value for their own private wealth.
.
Today, grandmothers of forced comfort women are being discussed.
A story of a grandmother says, when she was 16 years old, a Japanese policeman and his minions came to drag her father along. Her mother first hid her husband and pointed to her daughter, saying “Is it possible to bring my daughter instead of my husband?” At that, the minions deceitfully said, “If so, she will be served with shiny-white rice and a good pair of rubber shoes.” And then the girl was tagged along to the detachment of forced comfort women. To live with her 8 children, the girl’s mother hid her husband and had to point to his oldest daughter, to be sad.

It was the painfully poor reality of the countryside at the time.
Though this lady is over 80 and not far from dying, she speaks out mixed words of ‘love and hatred’ that she still doesn’t want to see her father and mother. Thousands or 10 thousands members of usually 15-to-20-year-old flowerlike virgins on the Chosun Peninsula were forcedly dragged away to battlefields and become victims under the pretence(?) of heightening Japanese troops’ fighting spirit who were at war.
.
And then came the liberation.

In the ferry homeward bound from Japan, there were full of so many persons with so many stories in their heart. Across the blue sea of the Korea Straits, they endured seasickness longing for their home in the motherland and their beloved family. Soil-bared hillsides, ragged roofs of straw-thatched cottages, famished young children and his siblings... The long-cherished homeland back before them in years, there was yet nothing changed.
.
However, even if forced to be drafted into slave work to be injured, or into battlefields to get their legs lost, no matter what other people might think, men could somehow manage to return home in their family’s hospitality in their motherland’s bosom, but then women was in a different situation. Since trodden after trodden by soldier after soldier enough to get their body demolished, their situation was hard to be accepted by the Chosunese folks who were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Because of who and because of what was of little matter in their eyes. They were just sources of family shame and humiliation for fear others might know, although the women were actually so pitiable.

‘If dead in battlefields without coming back,’ they might have been not less than forgotten entities in their families’ minds. Rather, in front of the eyes, the ladies remained as if ambiguous leftovers that couldn’t be killed or saved.

The situation the former comfort women suffered was, the land of home they returned with yearning so much at the bow of homecoming boat now turned into a “bitter land of gall ” that disserts them.

You might be disinterested as this matter is others,’ but please suppose it be yours. If they had been a member or an aunt in your family, you would have kept it a secret for fear neighbors should know. It is former comfort women who were in their situation desolate with their dream of life broken because of the motherland, and had to be once again deserted by even his home village and family.
.
Failing to keep this land
the virgins of this land
trodden on the other land
came back to this land.
But this land again looked away from them.
...
Now they are 70~90 years old.
Nothing has rewarded them.
.
Words and deeds of Prime Minister Koizumi (Abe Premier as of 2007) as well as Japanese Textbooks that have tried to deny even the entities of the comfort women who was forcedly victimized in the Greater East Asia War that Japan was the culprit of... They are the infamous offences that maliciously hinder anywhere the vestiges of former comfort women who are still alive in Korea China Philippines as well and testify the history of indescribable disgrace in the past days.
.
Despite even now confessing the past sin and apologizing for it on the national level is the least reward they could offer for these forced comfort women (grandmothers by now) victim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s wrong policy the politicians committed during the past days, yet even this is what they disregarded. So even till they breathed their last, their ‘bitter sorrowful lives’ have not been acknowledged.

To add a remark, ‘Itaewon’ as well is a place and name that began this way.
Just, what is different is it traces back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is said, Itaewon had the ‘Unjongsa Temple,’ where only nuns dwelt in religious austerities. During the aggression, Japanese invaders came all the way to Old Seoul and were stationed at Yongsan, randomly raping the ‘Buddhist nuns of Unjongsa Temple’

Other ladies, who were raped, either killed themselves, or tried to abort every way possible, or discarded their newly born before others knew, or otherwise let their new-born babies overturned to death. Yet the life-loving nuns could not dare to, so they had to give birth to their babies and bring up.
.
As Japanese invaders are run away from Old Seoul, the returned Royal Court had to agonize over the issue of the babies born due to the raping by the Japanese invaders. Subsequently, the Royal Court decided not to punish the women including ‘Unjongsa’ nuns who had to be delivered of babies of Japanese invaders, and to build a nursery to nurse the babies, it is known.
After war, it is said people called this dwelling place of nuns ‘It-ae-won’ by using I of different, Tae of pregnant and Won of temple.
.
That is, the beginning of the place-name ‘Itaewon’ is from the dumbfounding(?) word origin that means ‘a temple impregnated by alien cusses.’ Itaewon itself is the name which left women ‘a biggest bitter sadness.’

By and by at the time of King Hyojong, a pear farms settles in. Because they built a ‘post-town inn’ where passengers stopped in at the area raising many pears, they changed it into a different Chinese character set of I-tae-won by using I of pear, Tae of big and Won of temple. Thus, the present name ‘Itaewon,’ holding the connotation of a pear growing temple, is what was changed midway.
.
.
What the history on this land is...
Man’s history is the history of the land as well.
.
Isaiah 62:1~5 the likening of Israel’s history to the land, and by ‘giving comfort to the land,’ is proclamation of the message giving hope to the homecoming citizens who are in discouragement.
B.C. 586, sovereignty being snatched away to Babylon, the king and influential leaders were draggled to Babylon as captives. 538 B.C. when Babylon’s sovereignty was turned to Persia, part of the Israelite prisoners come to return home 537 B.C.

Though these returned citizens started to build a new Temple(Ezra 5:14~16), yet for some reason, building the temple stopped to move forward. To consult Haggai, building the Temple is resumed around 520 B.C.(Haggai 1:12~14). At length, they consecrate the Temple 515 B.C., which the returned citizens had begun to build since 537 or 536 B.C.

The situation of about this 20 years between 537 and 512 B.C. is not written elaborately in the Bible. But guessing is possible that during the period, the returned citizens suffered troubles of lives with various issues around (see Nehemiah). The returned citizens in the situation needed something that might encourage and comfort them. By proclaiming salvation of Isaiah 62:1~5, the Prophet encourages the returned citizens in such situation.
.
The consolation of Isaiah 62:1~5 has hope inside, on and about the content that it encourages the homecoming of the people still in foreign lands, not only the citizens returned to the land of Palestine. This promise of salvation is towards all Israelites as well as the returned citizens. In our country likewise, such as ‘To The Land Of Hope’ and ‘The Spring Of My Young Home’ were the public songs with such character, in the subsequent periods of disturbance across 8.15 Liberation of Korea, the Korean War, and the early 60ies.
.
Under the Japanese colony and in the Korean War, our country as well had many people see their land of motherland not as value for investment but as the foundation for national life, and give theirs all away to redeem this land, it is said.
.
Israel in the Bible saw the land as absolutely that which belongs to their God of Yahweh (see Leviticus 25:23(exp.), Deuteronomy 19:14, 1 Kings 21:3). There are many times that God and Israel are represented as if husband and wife or father and son.

A step further, today’s text Isaiah 62:1~5 depicts ‘God who marries the land.’ The condition of its sovereignty lost to and trodden by another country is likened to ‘a spinster,’ ‘a deserted woman’ or ‘a woman left behind abandoned’ as in the verse 4. But this is the past Israel. For the present returned Israel, it is the proclamation of God that He will call the land ‘Hephzibah - My Joy is In Her,’ or ‘Beulah – a Married Woman’ (see Hosea Chapter 1). It is the proclamation that God’s mercy and compassion will embrace not only people but also the silent land.
.
‘Hephzibah’ and ‘Beulah’ have such meanings as follows: For the citizens who returned 537 B.C., the meaning is, God of Yahweh will look after and care for the land that they are to truly have feet on. And for Israelites who are hesitating still in foreign lands, the meaning is, “The past disasters no more exist. Hereafter, Zion will be downtrodden no more. Rather, Like a torch shining in the darkness, I will look after and lead Jerusalem so that it may stand out brilliantly all over the world. So don’t wave or hesitate about returning home” (Isaiah 62:11).

Today’s text has, rather than in the words proclaiming, but has a more significance in that it proclaimed a new promise in times of complete lack of common objective and thought in deep discouragement after the Exile period.
.
.
Conclusion now comes.

In the eyes of God’s people, the Exile period had gone. But the period of salvation didn’t dawn yet.

The promise of salvation written in Isaiah(40~) did not certainly materialized. Especially, the details described of the salvation period to come still didn’t come to pass.

However, faith is like this; “The Israelites groaned and cried out in their hardships, and God of Yahweh bestowed salvation upon them. Faith is that one acknowledges and is patient that God is alive and acting in the history indeed in the process of bestowing the salvation” (see Exodus 2:23~25).

Isaiah 61:1~3 is reinterpreted and proclaimed at Luke 4:16.
.
Here one can see that, even though the proclamation of the book of Isaiah was not fulfilled in the ,Prophets’ period, yet with persevering vitality, it somehow gets more and more fulfilled. The reason why we repeat to a boredom to study the history of Israel in sermons is so that we may learn their ‘persevering vitality’ through the history of hardships Israel underwent. It is because we can learn that, only in the process of Israel’s keeping the persevering vitality, the living God are acting in the history in His words.
.
The bible is working amid the principles of dynamics and paradox.
.
What is important is, today’s text affects us contemporary people ‘through the history of ‘reinterpretation.’ In the event that the words of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and a chosen people (compare Exodus 19:6 and 1 Peter 2:9~10) are applied to you one by one, “Hephzibah” in today’s text Isaiah 62:1~5 can be interpreted into “My Joy is In You.”
.
...
Dear believers, you are a chosen member of people. Let us be a member of the country with pride.
,
,

Welcome visitors to My personal homepage,
http://www.mryoum.com/skin_youm_html/eindex.htm/

.


나의 기쁨이 너에게 있다.



.
11. "나의 기쁨이 너에게 있다."

11. ‘My Joy is In You’
.
- 2001년 8월 – 광복절을 기념하며....
- Commemorating the Independence Day - August 2001
- 이사야 62장 1~5절의 ‘헵시바’ 와 ‘뿔라’ 에 대한 소고
- ‘Hephzibah’ and ‘Beulah’ in Isaiah 62:1~5
.
.
이사야 62장 1~5절
1 나는 시온의 공의가 빛 같이, 예루살렘의 구원이 횃불 같이 나타나도록 시온을 위하여 잠잠하지 아니하며 예루살렘을 위하여 쉬지 아니할 것인즉 2 열방이 네 공의를, 열왕이 다 네 영광을 볼 것이요 너는 여호와의 입으로 정하실 새 이름으로 일컬음이 될 것이며 3 너는 또 여호와의 손의 아름다운 면류관, 네 하나님의 손의 왕관이 될 것이라 4 다시는 너를 버리운 자라 칭하지 아니하며 다시는 네 땅을 황무지라 칭하지 아니하고 오직 너를 헵시바라 하며 네 땅을 쀼ㄹ라(뿔라)라 하리니 이는 여호와께서 너를 기뻐하실 것이며 네 땅이 결혼한바가 될 것임이라 5 마치 청년이 처녀와 결혼함 같이 네 아들들이 너를 취하겠고 신랑이 신부를 기뻐함 같이 네 하나님이 너를 기뻐하시리라






'세계의 화약고'라는 별명이 붙은 중동지역은, 해당국가들 뿐만이 아니고 온 세계의 관심과 긴장을 고조시킵니다. 중동 지역의 국지전과는 이해관계가 없는 나라들도 '원유 수입과 그에 따른 세계 경제의 여파'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중동지역의 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게 됩니다. 중동지역에서도 가장 빈번하게 충돌하는 국가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자치지구(P.N.A)와의 대립입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자치지구(P.N.A) 모두 요르단강 서안지구를 자기들이 조상 때부터 물려받은 땅이라고 주장합니다.
.
양쪽의 주장 모두가 맞습니다.
.
출애굽과 광야의 생활을 거쳐 가나안 땅에 입성 한 이후 - 사사시대를 거쳐 - 통일 왕국과 분열 왕국시기를 보내고 - 바벨론 포로기와 더불어 - 귀향 민을 통한 유대종교의 재확립, 알렉산더와 그 후예들에 의한 헬라의 식민지가 되었고 - 후에는 로마의 식민지를 거칠 때까지 - 요단강의 서안지구, 지금의 팔레스타인자치지구는 ‘이스라엘의 땅’이었습니다.
.
A.D 70년 이후 예루살렘 성전과 성벽이 로마의 디도 장군 지휘아래 짓밟히고, 이스라엘인들은 다시금 로마의 통치권 내의 영역으로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이스라엘이 흩어진 자리에는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이 모여 들어와 살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이 지금의 팔레스타인자치지구입니다.
.
1945년 이스라엘이 '시온주의 깃발아래' 예루살렘으로 모여들고, 1948년 연합군 군정 통치 밑에서 지금의 이스라엘을 약 2500여년 만에 건국하였습니다. 드디어 2500여년 만에 고난과 굴욕의 역사 위에 이스라엘 국기를 꽂았습니다.
.
현 이스라엘이 탄생한 것은 1948년 이후입니다. 그들이 사용하는 국기 가운데 있는 별 모양의 상징은 - 흰 바탕에 - ‘다윗의 별’이라 하여 그 옛날 다윗왕의 영광을 재건하려고 합니다.
.
다윗의 영광을 실현시키자는 과업 아래 현재의 이스라엘이 1948년 이후 수립되고, 영토가 확정될 때 그 땅에는 2000년 가까이 살던 주민들이 있었습니다. 옛날 신명기나 여호수아서에 나타난 것처럼 “호흡이 있는 것은 진멸하라”는 명령만을 따를 수가 없는 것이 근대에 이어 현대의 전쟁 윤리인 동시에 국제사회의 윤리입니다. 1948년 새로운 이스라엘 ‐ 다윗의 영광을 꿈꾸며 국기조차 다윗의 별을 내걸었지만, 그들이 세계 각국에서 고국 땅을 찾아 왔을 때는 이미 그곳을 점령하고 살던 팔레스타인 사람들과의 땅에 대한 소유권문제가 남아 있었습니다.
.
팔레스타인자치지구의 사람들도 할 말은 있었습니다. 어느 시대, 어느 나라이건, 주권 잃고 국민들이 뿔뿔이 흩어지면 그 땅에는 자연히 다른 사람들이 살게 됩니다. 그들도 그렇게 2000년 가까이 그곳에 정착하여 자손 대대로 살아왔습니다.
.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자기들이 옛날의 이스라엘 자손이고 땅 임자니까, 너희들은 다른 곳으로 가라“고 내 쫓으려고 합니다. 10, 20년도 아니고 2000년 가까이 동안 살던 곳인데...그 땅의 주인은 누구이겠습니까?
.
구약의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를 읽다 보면 눈에 가장 많이 띄는 단어가 자손과 땅입니다.
.
창 12;1 내가 네게 보여 줄 땅으로 가라.
창 50:24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맹세하신 땅에 이르게 하시리라.
레 20:24 땅 곧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너희에게 주어 유업을 삼게 하리라.
출 23:30 그 땅을 기업으로 얻을 때까지
신 19:14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어 차지하게 하시는 땅 곧 네 소유가 된 기업의 땅에서 조상이 정한 네 이웃의 경계를 옮기지 말지니라.
신 28:11 네게 주리라고 네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땅에서
수 1:4 광야와 이 레바논에서부터∼ 너희의 영토가 되리라.
...
이외에도 성경의 수많은 곳에서 땅에 대한 약속이 있습니다.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자치지구 사람들에게 있어서 땅은 투자가치나 재산으로서의 땅의 개념이 아닙니다. 그들의 선조들이 살았고, 뼈를 묻고 자신들도 묻혀야 할 곳, 그리고 자손들에게 물려줘야 하는 ‘삶의 근본이며 뿌리’로서의 ‘땅에 대한 개념’입니다. 현대 세계에서는 전쟁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100년, 200년 전의 땅의 개념들이 많이 사라졌습니다.
.
우리나라 역시 그 중에 속할 때가 많습니다.
.
한일합방과 36년간의 일본에 의한 식민지시대, 1945년 해방과 곧 이어 남북분단, 6.25전쟁 때에는 이 땅의 수많은 청춘들, 혹은 애국지사들이 자신의 모든 것을 버리거나 뒤로 한 채 오로지 조국의 땅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불살랐습니다. 자신들의 삶뿐만이 아니고 선조와 후손의 근본을 지키기 위해서 있는 논, 밭 임야....목숨까지도 바치면서도 우리가 발 디디고 서 있는 이 땅을 지켜내었습니다. 그 대가가 국가에서 수여하는 훈장, 아니면 묘비의 이름 석자, 그보다 더 많은 이들이 이름 없는 어느 산골, 어느 벌판, 혹은 동남아의 어느 곳에서 죽었는지도 모릅니다.
.
하지만 이들의 후손 중 많은 사람들이 생활고에 시달립니다.
.
조국, 즉 이 땅을 지켜내기 위해서 가지고 있던 모든 재산을 내어주고, 자신의 몸뚱이까지 불사를 때는 가정과 국가 모두에게 충성(충실)을 할 수는 없었습니다. 그들이 그렇게 지키기 위해 애태웠던 조국은 해방을 맞고, 또는 전쟁은 멎었지만 그들에게 현실적으로 부딪친 것은 ‘삶의 문제’ 이었습니다.
.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 주었으니 남아 있는 재산이 없는 게 뻔합니다.
이 분들에게는 조국의 영광 뒤에 묻혀진 개인의 희생뿐만이 아니고 ‘자손의 고생까지’가 이분들에게 돌아온 몫이지만, 그분들이 죽을 때는 이런 것까지는 생각하지 못 했을 것입니다.
.
현실에 적응 잘하는 사람들은 일본 식민지 아래서는 일본에 아부하고, 미군정시대 때는 미군정에 잘 보이고, 48년 이후에는 권력의 주된 세력인 자유당과 결탁했습니다. 덕분에 이들은 재산을 빼앗긴 것이 아니고 오히려 늘렸습니다. 그들의 자손들은 지혜로운(?) 조상을 둔 덕분에(!) 세상 편하게 잘 살고 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
이 땅이 무엇이 건데!
.
한 부류는 자신의 목숨도 모자라서 부모, 자식들의 목숨까지도 버려가며 이 땅을 지키려고 발버둥쳤고, 한 부류는 세상 돌아가는 것을 남의 나라 일처럼 구경만 했고, 한 부류는 기득권이 바뀔 때 마다 재빠르게 처신해서 자손들까지도 대대손손 편하게 지낼 수 있는 막대한 재산을 축적하고....
.
땅을 민족의 근본으로 보느냐. 아니면 재산 가치로 보느냐에 따른 각자의 인생 행로였습니다.
.
.
오늘도 정신대 할머니들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
어느 할머니는 16살에 일본순사와 그 사람들의 앞잡이가 아버지를 징용으로 끌고 가기 위해 잡으러 오자. 어머니가 아버지는 피신시키고 16살 먹은 자신을 가리켜 “남편 대신 데려가면 안 되겠느냐” 해서 아버지 대신 “흰 밥에 고무신 사 준다" 는 ‘일본 앞잡이들의 뀜’에 빠져 정신대에 끌려갔다고 합니다. 그 어머니는 8명의 자녀들과 살기위해 남편을 피신시키고 남편대신 제일 큰 딸을 지목해야만 했습니다.
.
지겹도록 가난한 당시의 농촌 현실이었습니다.
.
이제는 80살이 넘어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도 이 할머니는 아직도 당신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보고 싶지 않다는 '애증'이 섞인 말을 토해냅니다. 조선반도에서 대개가 15-20살 정도의 꽃다운 처녀가 수천 명, 혹은 수만 명이 전쟁을 하는 군인들의 사기를 돋우기 위해서(?) 강제로 전쟁터로 끌려가 서 희생물이 되었습니다.
.
그리고 해방이 되었습니다.
.
일본에서 조국 땅으로 돌아오는 귀국선에는 갖가지 사연을 가슴에 품은 온갖 사람들로 가득 찼습니다. 현해탄의 푸른 바다 위에서도 조국의 땅, 가족의 품을 그리워하며 배 멀미를 견뎌냈습니다. 벌거벗은 산등허리, 초라한 초가지붕, 배고파하는 어린 자식이나 동생들..... 몇 년 만에 다시 밟는 그리운 조국 땅이지만 달라진 것은 없었습니다.
.
그러나 남자들은 징용으로 끌려가서 노역을 하다가 다쳤거나 전쟁터에서 다리를 잃었어도 개의치 않고 조국의 품. 가족의 환대를 받으며 집안으로 들어갈 수가 있었지만 여자들은 달랐습니다. 이미 군인들에게 짓밟힐 만큼 짓밟혀서 망신창이가 된 몸, 유교적 사상에 물든 조선 사람들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 딸이었습니다. 누구 때문에, 뭣 때문에는 따질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그저 현실적으로 불쌍하지만, 남이 알면 집안 망신시킬 딸일 뿐이었습니다.
.
오히려 ‘전쟁터에서 죽어 오지나 않았으면’ 가슴에라도 묻고 살아가겠지만, 눈앞에 나타난 딸은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없는 존재로 남아 있었습니다.
.
귀국선 뱃머리에서 그렇게 그리며 찾은 고향의 땅은 이제는 자신을 버리는 ‘쓰디 쓴 소태의 땅’으로 변한 게 정신대 할머니들이 겪은 상황이었습니다.
.
여러분들도 이런 이야기고 남의 일이니까 편하지, 여러분 집안의 친 할머니 혹은 이모, 고모라면 이웃들이 알까 봐 쉿-쉿 했을 것입니다. 조국 때문에 인생의 꿈이 무너진 것도 한이 맺히는데 고향과 가족한테도 또 한번 버림을 받아야 했던 이들이 정신대 할머니들 이었습니다.
.
이 땅을 지키지 못해
이 땅의 처녀들이
남의 땅에서 짓밟히고
다시금 이 땅에 돌아왔건만,
이 땅은 다시금 그녀들을 외면했습니다.
...

이제 그분들은 70-90살의 연령이 되었습니다.
.
그 무엇으로도 그분들에 대한 보상은 없습니다.
.
일본이 전쟁의 주범이었던 대동아 전쟁에서 희생당해야만 했던 위안부들의 존재조차도 부인하려는 일본의 교과서 문제나 고이즈미 총리(2007년 현재는 아베 신조 총리)의 말이나 행동은 한국의 정신대 할머니들뿐이 아니고, 중국, 필리핀등지에서 아직도 살아서 지난날의 오욕의 역사를 말해주는 정신대 할머니들에게는 그분들의 흔적을 아무 곳에서도 발붙이지 못하게 하는 파렴치한 행동인 것입니다.
.
일본의정치인들이 지난시절에 저질러졌던 일본정부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 희생당한 전쟁 위안부(정신대 할머니들)에게 지금이라도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국가차원에서 사과하는 것이 이분들한테 해 줄 수 있는 최소한의 보상인데도, 이것마저 외면하는 통에 마지막 죽은 순간까지도 이분들의 ‘한 많은 삶’은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
덧붙이면 '이태원'도 이렇게 시작된 장소요, 지명입니다.
다만 시대가 임진왜란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다를 뿐입니다.
.
이태원에는 ‘운종사’라는 여승만이 수도하는 절이 있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때 왜적이 거침없이 한양까지 올라와 용산에 주둔하고 머물면서 ‘운종사의 비구니’들을 마구 겁탈했습니다.
.
다른 아녀자들은 겁탈을 당한 후에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갖은 방법으로 낙태를 시키거나, 낳은 애를 남들 모르게 버리거나, 그것도 아니면 갓 낳은 애를 엎어서라도 죽였지만, 생명을 중시하는 비구니들은 그러지도 못하고 아이를 낳아서 기를 수밖에 없었습니다.
.
왜군이 서울에서 도망가자 다시 서울로 돌아온 조정은 왜군들에게 겁탈을 당해서 낳은 아이들 문제로 고심해야 했습니다. 마침내 조정에서는 ‘운종사’ 여승들을 포함해 왜적의 아이를 낳은 부녀자들을 벌하지 않기로 하고, 이곳에 보육원을 지어 아이들을 기르게 했다고 합니다.
.
그리고 전쟁이 끝난 후에 사람‘들은 이 비구니들이 기거하는 곳을, 다를 이(異), 애밸 태(胎), 사원 원(院)을 써서 이태원’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
즉 ‘이태원‘ 이라는 지명의 시작은 ’이국 놈들의 애를 밴 (여승들의)사원‘이라는 기막힌(?) 어원에서부터 시작한 셈입니다. 이태원이라는 지명자체가 여인들에게 ‘크나큰 한을 남겨준 이름’입니다.
.
그러다가 효종 때 이곳에 배 밭이 들어서고, 배나무를 많이 재배하는 곳에 여행자의 숙소인 ‘역원’을 지었다고 해서 지금의 배리(梨), 클 태(泰), 사원 원(院)‘의 뜻을 가진 이태원’이라는 이름으로 한자표기를 바꾸었다고 합니다. 지금의 배리(梨), 클 태(泰), 사원 원(院)을 쓰는 ‘이태원’은 중간에 바뀐 이름입니다.
.
.
이 땅의 역사가 무엇이 건대...
인간의 역사는 그 땅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

.
이사야 62:1-5 이스라엘의 역사를 땅에 비유하고 ‘그 땅을 위로 해 줌’으로써 실의에 찬 귀향 민들에게 희망을 주려는 메시지의 선포입니다.
.
B.C 586년 바벨론에게 주권을 빼앗기고 왕과 이스라엘의 영향력 있던 지도자들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습니다. 538년 바벨론의 주권이 페르시아에게 넘어가자 537년 이스라엘의 포로들 일부가 귀국하게 됩니다.
.
이들 귀향 민들은 새로운 성전을 짓기 시작했지만 (에스라 5.14‐16) 웬일인지 성전 짓는 일은 중단 됐습니다. 그리고 학개서를 보면 520년경에 성전 짓는 것이 재개됩니다(학개 1.12‐14) 결국 귀향 민들에 의해 B.C 537또는536년부터 짓기 시작한 성전을 B.C 515년에 봉헌됩니다.
.
이 537년과 515년 사이 근 20년간의 상황이 성경에는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기간동안 귀향 민들은 여러 가지 문제로 어려운 생활고를 겪은 것으로 추측됩니다. (참고 느헤미야 5장) 이런 귀향 민들은 격려하고 위안해주고 지켜줄 그 무엇이 필요했습니다. 예언자는 사 62:1-5의 구원을 선포함으로써 이 때의 상황 속에서 귀향 민들을 격려합니다.
.
또 사 62:1-5절의 위로의 내용에는 팔레스타인 땅에 귀환한 귀향 민 뿐 아니고 아직도 외국에 남아있는 사람들의 귀환을 독려하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는 희망이 담겨 있습니다. 이 구원 약속은 귀향 민 뿐 아니고 이스라엘 전체를 대상으로 합니다. 우리나라 경우에도 8.15해방과 6.25전쟁, 60년 초의 정치적 혼란으로 이어지던 시대에 '희망의 나라' '고향의 봄' 등은 이러한 성격을 뛴 대중을 위한 노래들이었습니다.
.
우리나라도 일제 식민지 아래에서 또는 6.25전쟁 당시 많은 사람들이 조국의 땅을 투자의 가치가 아니고 민족의 삶의 근본으로 보고, 이 땅을 찾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은 내주었다고 했습니다.
.
성경에 나오는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땅은 철저히 야훼, 하나님께 속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레25:23, 신19:14. 왕상21:3, 특히 레25;23참고) 하나님과 이스라엘은 부부관계 또는 부자관계로 묘사 할 때가 많습니다.
.
.
오늘의 본문 사 62:1-5에서는 한 발 더 나아가 ‘그 땅과 결혼하는 하나님’을 묘사합니다.
남의 나라에 주권을 빼앗기고 짓밟힌 것을 4절 '독신녀' '버림받은 여자 ', '버림 받은 채로 내버려 둔 여인'으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과거의 이스라엘입니다. 현재의 귀향한 이스라엘에게는 그 땅을 "나의 기쁨이 그(녀)에게 있다 –햅시바" 또는 "결혼한 여자-뿔라'"라 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선포입니다. (호세아 1장 참고).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히 사람에게 뿐이 아니고 침묵하는 땅까지도 포용하시겠다는 선포입니다.
.
'헵시바'와 '뿔라'는 537년 귀향한 귀향 민들에게는 진정으로 자기들이 발붙이고 살아야 할 그 땅을 야훼 하나님께서 돌보아주시고, 사랑하겠다는 뜻이고, 아직도 타국에 남아서 귀환하기를 주저하는 이스라엘에게는 “과거의 재난은 더 이상 없다. 시온이 짓밟히는 일은 이제는 없을 것이고, 오히려 어둠에 빛나는 횃불 같이 예루살렘은 세계만방에 찬란하게 그 모습을 드러내도록 내가 돌봐주고 이끌어 줄 것이니, 너희는 귀환하는 것을 망설이고 주저하지 말라”(사 62:11)는 의미가 됩니다.
.
오늘의 본문은 선포하는 말에 있다기 보다는, 포로기 이후 깊은 절망에 휩싸여 공동의 목표와 사상이 완전히 결여 된 시대에 새롭게 약속을 선포하였다는 것에 더 큰 의의가 있습니다.
.
.
결론을 맺겠습니다.
.
하나님 백성이 보기에 포로기가 끝나도 구원시대는 동터오지 않았습니다.
.
이사야서에 기록된(40장 이하) 구원 약속은 분명히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특히 앞으로 다가올 구원의 시대를 묘사한 세부 내용들의 더더욱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믿음은 “고난 중에 울부짖었더니 야훼 하나님이 구원을 베풀었다. 그 구원을 베푸는 과정에서 비로소 하나님이 역사 속에서 살아서 활동하신다는 것을 인지하고 인내하는 것”입니다. (출애굽기 2장 23절-25절 참고)
.
이사야61:1-3절이 누가복음 4:16절에 다시 재해석 되어 선포됩니다.
.
이것은 이사야서의 선포가 예언자의 시대에는 성취되지 않았더라도 끈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비로소 성취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설교 속에서 이스라엘 역사를 지겨울 정도로 반복하여 공부하는 것은 이스라엘이 겪었던 고난의 역사를 통해 그들의 '끈질긴 생명력'을 배우는데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끈질기게 생명력을 이어가는 과정 속에서 비로소 생명의 하나님이 말씀으로 역사 안에서 활동하시는 것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성경은 역동성의 원리와 역리성의 원리 가운데서 우리에게 역사하십니다.
.
중요한 것은 오늘의 본문이 '재해석'의 역사를 통하여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까지 영향을 발휘한다는 것입니다. 왕같이 존귀한 제사장, 거룩한 나라, 선택 받은 백성이라는 말씀을(출애굽기19:6과 베드로전서 2:9-10비교) 여러분 한명 한 명한테 적용 될 때는 오늘의 본문 이사야 62:1-5의 말씀 중 “헵시바” 는 바로 당신에게 “나의 기쁨이 너에게 있다” 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
여러분! 여러분은 선택 받은 백성 입니다. 자부심을 갖고 그 나라의 백성이 되십시오!
.
.
.

Welcome visitors to My personal homepage,... http://www.mryoum.com/main.html
.